♬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김해김씨(金海金氏) - 우록
    유래
     시조 : 김충선(金忠善)
    시조 김충선(金忠善,1571~1642, 자는 선지, 호는 모하당)은 본래 일본인으로 이름은 사야카(沙也可)이다.
    그가 임진왜란때 21세의 나이로 일본군 가등청정(加藤淸正, 가또오 기요마사)의 좌선봉장(左先鋒將)으로 삼천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4월 13일 부산 동래에 상륙 했다.
    조선의 문물과 인정, 풍속에 감탄하여 상륙한지 1주일만인 4월 20일 경상도 병마절도사 박진(朴晋)과 김응서(金應瑞)에게 "내가 못난것도 아니요, 나의 군대가 약한 것도 아니나 조선의 문물이 일본에 앞서고 학문과 도덕을 숭상하는 군자의 나라를 짓밟을 수 없어 귀순하고싶다."라는 편지를 보내 귀순의 뜻을 밝힌 후 귀순하였다.

    귀순 후 조선의 장수로 울산과 경주, 영천 등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특히 그는 조선에 화포와 조총을 만드는 법과 사용술을 보급하였고, 18개 지역 왜적의 성을 탈환하는 등 눈부신 업적과 전공을 세우자 권율장군과 어사 한준겸(韓浚謙)이 왕에게 간청하여 정이품 자헌대부에 올랐으며 선조가 그를 친히 불러 '바다를 건너온 모래(沙)를 걸러 금(金)을 얻었다"고 하며 김씨(金氏)로 사성(賜姓)하고 이름을 김충선으로 하사 하였다.

    1603년(선조 36년) 북방에서 여진족이 국경을 어지럽히자 국경방어를 자청하여 10년간 국경을 지키다 물러났고,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에는 다시 출정해 부장(副將) 서아지(徐牙之)의 목을베어 평정에 공을 세웠다. 1627년(인조 5년)의 병자호란 때에는 의병을 모아 경기도 광주의 쌍령(雙嶺)에서 매복작전으로 대승을 거두어 무훈을 떨쳤다.

    그는 서른살이 되던 해 진주 목사(晋州牧使) 장춘점(張春點)의 딸을 아내로 맞아 경북 달성군 가창면 우록동(友鹿洞)에 뿌리를 내리고 충효의열(忠孝義烈)의 가풍(家風)으로 살다가 1642년(인조 20년) 72세로 세상을 마쳐 가창골에 세워진 녹동서원(鹿洞書院)에 배향되었고, 정헌대부 지중추부사(正憲大夫 知中樞府事), 병조참판(兵曹判書)에 추증되었다.
    지금 그의 후손들은 경북 달성군 가창면에 많이 살고 있으며 우록동에 살았기 때문에 우록김씨라고도 불리운다.

    - 묘소는 경북 달성군 가창면 우록동 삼정산에 부인의 무덤과 나란히 있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585번지의 한일 우호의 광장 녹동서원에 배향되어 있으며 옆에는 기념관을 건립하여 유물을 전시하는 중이다. 지금도 많은 일본인들이 관광차 방문하고 있으며 대구시 문화관광코스로 지정되어 많은 시민들이 방문하고 있다.
    인물
    김충선은 슬하에 아들 5형제를두었는데 장남 김경원(金敬元)이 상호군(上護軍)을 거쳐 병조참판(兵曹參判)에, 둘째 김경신(金敬信)은 공조참판(工曹參判)에 각각 추증되었고, 셋째 김우상(金右祥)은 상호군(上護軍)을, 넷째 김계인(金繼仁)은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했으며, 막내 김경인(金敬仁)은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어 가문을 크게 일으켰다.
    가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물로는 김경원의 둘째 아들 김진영(金振英)이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겸 참찬관(參贊官)을 역임했고, 김여삼(金汝三)은 노모가 죽자 삼성산(三聖山)에 여막(廬幕)을 짓고 3년간이나 시묘(侍墓)를 극진히 하여 "효행록(孝行錄)"에 실렸으며, 김용하(金龍河)는 부모의 봉양을 위하여 벼슬을 사직하여 충효의열(忠孝義烈)의 가풍을 지켰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경준(金敬濬, 1862 壬戌生) : 문과(文科) 고종23년(1886) 함경도도과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세진(金世鎭, 1838 戊戌生) : 문과(文科) 고종13년(1876)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기손(金驥孫) : 문과(文科) 성종13년(1482) 친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유신(金庾信)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극검(金克儉)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중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김명악(金命岳, 1821 辛巳生) : 문과(文科) 철종5년(1854)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덕승(金德承, 1595 乙未生) : 문과(文科) 광해군11년(1619) 별시 을과(乙科)
     김집(金集, 1707 丁亥生) : 문과(文科) 영조22년(1746) 별시 병과(丙科)
     김빈(金○) : 문과(文科) 태종16년(1416) 중시 을과(乙科)
     김재일(金載一, 1749 己巳生) : 문과(文科) 정조10년(1786)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28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28명, 무과 536명, 생원진사시 471명, 역과 59명, 의과 39명, 음양과 15명, 율과 33명, 주학 8명)
  • ※ 과거급제자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북 달성군 가창면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
    김해(金海)는 경상남도 김해시(金海市) 일대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洛東江) 하구 남서쪽에 위치하여 일찍부터 가락국(駕洛國)의 문화 중심지로 발전하여 왔다. 532년(신라 법흥왕 19) 신라에 병합되어 금관군(金官郡)이 되었다. 680년(문무왕 20)에 금관소경(金官小京)이 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바꾸어 양주(良州: 梁山)의 관할로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김해부(金海府)로 개칭되었고 임해현(臨海縣)으로 다시 강등되었다가 곧 임해군으로 승격되었다. 995년(성종 14)에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여 영동도(嶺東道)에 속하였다가 1012년(현종 4)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으나 1018년부터는 의안군(義安郡: 昌原)·함안군(咸安郡)·칠원현(漆原縣: 漆原面)·웅신현(熊神縣: 鎭海)등을 영현으로 삼았다. 1270년(원종 11) 방어사(防禦使) 김훤이 인접지역인 밀성(密城)의 난을 평정하여 김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1293년(충렬왕 19) 현으로 강등되었다. 1308년 금주목(金州牧)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충선왕 2) 김해부(金海府)로 격하되었다. 1413년(태종 13) 김해도호부로 승격되어 세조 때 진(鎭)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김해군이 되었고, 1918년에 좌부면과 우부면이 김해면으로 통합되었다. 1931년에는 김해면이 김해읍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김해군의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 되었으며 1995년에는 김해군과 통합하여 김해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김해김씨(우록)는
    1985년에는 26,902가구 125,277명, 2000년에는 59,880가구 199,54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
  • ※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를 구분하여 조사하지 않았다.
  • 참고사항
    - 2015년 인구조사에서 인구가 없는 것은 우록김씨를 별도 조사하지 않고 김해김씨로 일괄 조사해서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