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나주김씨(羅州金氏)
    유래
     시조 : 김운발(金雲發)
    시조 김운발(金雲發)은 신라 경순왕의 둘째 아들인 김굉의 맏아들이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의 기록에 의하면 김굉은 신라(新羅)가 망하자 해인사로 들어가 삭발을 하고 법명을 범공(梵空)으로 하여 불가로 귀의하였는데, 그가 입산하기 전에 고려에서 두 아들을 예우하여 첫째 아들 김운발은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나주군에 봉하고, 둘째 아들 김우발(金雨發)은 경주군(慶州君)에 봉했다고 한다.
    김운발이 나주군에 봉해지자 후손들이 본관을 나주로 하였다.

    - 묘소는 개성시 북쪽 오룡산에 있다.
    인물
    김운발의 아들 김중륜(金重輪)과 김인륜(金仁輪)이 고려에서 각각 시중(侍中)과 원윤(源尹)에 올랐으며, 증손자 김원상(金源相)은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역임하여 명성을 떨쳤다.
    판윤(判尹) 김우해(金宇海)의 아들 김광(金光)은 보문각(寶文閣)의 정2품 벼슬인 대제학(大提學)을 지냈고, 후손 김수연(金守淵)은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역임하였다.
    1326년(충숙왕 13년) 문과에 급제한 김대경(金臺卿)은 벼슬이 대제학에 이르렀으며, 문장(文章)이 당세에 뛰어나 동문선(東文選 :신라 때부터 조선 숙종 때까지의 시문을 모은 책)에 그의 시가 올랐고, 한때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함께 나주 안로현(安老縣)에서 유배생활을 겪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에 와서는 공조참의(工曹參議) 김규(金珪)와 형조참의(刑曹參議) 김경근(金敬近)이 유명했으며, 김경석(金景錫)은 중종 때 무과에 급제하고, 명종 때 호남 지방에 왜구가 침입하자 방어사(防禦使)로서 5촌간인 김적(金適)과 함께 이를 격퇴시켰다.
    그외 길주 목사(吉州牧使) 김진(金鎭), 풍천부사(豊川府使) 김수신(金守信), 도총관(都摠管) 김충수(金忠秀)가 유명했는데, 특히 김충수는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올랐으며, 정유재란 때는 부인과 함께 장렬하게 순절하여 나라에서 그의 고향인 공주에 정문(旌門)을 세우게 하였다.
    전라 관찰사(觀察使)를 지낸 김장송(金長松), 남원부사(南原府使)를 지낸 김몽동(金夢東)과 김난익(金蘭益), 현감(縣監)을 지낸 김희징(金禧澄)과 김원동, 이등공신(原從二等功臣) 김언호(金彦浩)와 함께 명성을 떨쳐 가문을 빛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소하(金韶夏, 1633 癸酉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식년시 병과(丙科)
     김적(金適) : 문과(文科) 중종38년(1543) 식년시 병과(丙科)
     김초보(金楚寶, 1667 丁未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식년시 병과(丙科)
     김상려(金相礪, 1683 癸亥生) : 문과(文科) 영조1년(1725) 증광시 병과(丙科)
     김형중(金衡重, 1694 甲戌生) : 문과(文科) 영조41년(1765) 식년시 병과(丙科)
     김대규(金大圭, 1815 乙亥生) : 문과(文科) 헌종6년(1840) 식년시 을과(乙科)
     김영집(金英集, 1775 乙未生) : 문과(文科) 순조17년(1817) 별시 병과(丙科)
     김영업(金英業, 1784 甲辰生) : 문과(文科) 순조17년(1817) 별시 병과(丙科)
     김준필(金俊弼, 1659 己亥生) : 무과(武科) 숙종13년(1687) 알성시 병과(丙科)
     김보(金福, 1601 辛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8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8명, 무과 27명, 생원진사시 37명, 역과 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3世
    용(用)○
    기(基)○
    갑(鉀)○
    효(孝)○
    교(敎)○
    학(學)○
    무(武)○
    기(璣)○
    재(栽)○
    34世
    ○탁(鐸)
    ○원(元)
    ○근(根)
    ○은(殷)
    ○겸(兼)
    ○문(文)
    ○하(夏)
    35世
    우(禹)○
    병(昞)○
    운雲)○
    인(寅)○
    주(宙)○
    연(演)○
    36世
    ○형(衡)
    ○우(宇)
    ○연(衍)
    ○욱(郁)
    ○경(卿)
    37世
    성(成)○
    재(載)○
    무(茂)○
    진(振)○
    량(良)○
    농(濃)○
    38世
    ○기(起)
    ○희(熙)
    ○현(弦)
    ○홍(弘)
    ○필(弼)
    ○기(紀)
    39世
    유(庾)○
    병(秉)○
    강(康)○
    남(南)○
    년(年)○
    장(章)○
    40世
    창(彰)
    ○재(宰)
    ○엽(燁)
    ○수(守)
    ○래(來)
    ○영
    41世
    진(珍)○
    치(致)○
    임(任)○
    중(重)○
    동(東)○
    훈(勳)○
    42世
    ○규(揆)
    ○호(昊)
    ○발(發)
    ○우(雨)
    ○유(猷)
    순(醇)
    43世
    효(孝)
    교(敎)
    학(學)
    44世
    근(根)
    은(殷)
    겸(兼)
    45世
    인(寅)
    주(宙)
    연(演)
    46世
    욱(郁)
    경(卿)
    구(邱)
    47世
    진(振)
    양(良)
    농(濃)
    48世
    홍(弘)
    필(弼)
    기(紀)
    49世
    남(南)
    년(年)
    장(章)
    50世
    수(守)
    51世
    52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4世孫은 33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
    나주(羅州)는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지역으로 백제 때 발라군(發羅郡)으로 불리었고, 뒤에 죽군성(竹軍城)으로 바뀌었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 686년(신라 신문왕 6)에는 통의군(通義郡)으로, 757년(경덕왕 16) 이후로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 光州)의 관할로 두었고, 회진현(會津縣)·여황현(艅艎縣)·철야현(鐵冶縣) 등이 부속으로 영입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 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나주진해군절도사(羅州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다시 나주목으로 고쳐 5개의 속군(무안·담양·곡성·낙안·남평)과 11개의 속현(철야·반남·안노·복룡·원율·여황·창평·장산·회진·진원·화순)을 거느렸다. 1310년(충선왕 2)에 지주사(知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승격하였다.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주로 목(牧), 부(府)로서 전남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로서 나주군 등을 관할하였고,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되었고, 금성시는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어 나주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나주김씨는
    1985년에는 9,780가구 41,257명, 2000년에는 14,387가구 46,42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1,06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