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청주한씨(淸州韓氏)
    유래
     시조 : 한란(韓蘭)
    시조 한란(韓蘭, 태위공)은 신라 말기에 현재의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에서 한지원(韓智原)의 4형제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40세 무렵에 현재의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方西洞)으로 이주하여, 마을 언덕에 무농정(務農亭)을 짓고 방정리(方井里) 무농평(務農坪)의 농토를 개척하여 부농이 되었다고 한다.

    928년(고려 태조 11)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하여 청주를 지날 때 한란은 왕건을 군례(軍禮)로 맞이하고 창고의 곡식을 풀어 하루 동안 왕건의 10만 군대를 배불리 먹였으며, 왕건과 함께 종군하여 큰 전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한란은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이 되었으며, 벼슬은 삼중대광 태위(三重大匡 太尉)에 올랐다고 한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청주를 본관으로 하고 있다.
    주요 인물
    한경직(韓景職)한덕수(韓悳洙)한명숙(韓明淑)한명회(韓明澮)한승수(韓昇洙)
    한용운(韓龍雲)한강(韓康)한경기(韓景琦)한경생(韓慶生)한경원(韓敬源)
    한경의(韓敬儀)한계미(韓繼美)한계석(韓桂錫)한계순(韓繼純)한계원(韓啓源)
    한계희(韓繼禧)한공의(韓公義)한광수(韓光洙)한광조(韓光肇)한교(韓嶠)
    한구(韓構)한규(韓珪)한규설(韓圭卨)한규직(韓圭稷)한극창(韓克昌)
    한기(韓記)한기동(韓耆東)한기욱(韓基昱)한대순(韓大淳)한덕문(韓德文)
    한덕원(韓德遠)한돈원(韓敦源)한두(韓㞳)한두유(韓斗愈)한리(韓理)
    한만유(韓晩裕)한명욱(韓明勗)한명윤(韓明胤)한명진(韓明溍)한몽삼(韓夢參)
    한몽필(韓夢弼)한방언(韓邦彦)한배주(韓配周)한배하(韓配夏)한백겸(韓百謙)
    한백륜(韓伯倫)한범석(韓範錫)한범수(韓範洙)한보(韓堡)한사득(韓師得)
    한사문(韓斯文)한사직(韓師直)한상경(韓尙敬)한상덕(韓尙德)한상룡(韓相龍)
    한상질(韓尙質)한서구(韓瑞龜)한서봉(韓瑞鳳)한선국(韓善國)한성기(韓性祺)
    한성기(韓成基)한성우(韓聖佑)한성준(韓成俊)한세량(韓世良)한세환(韓世桓)
    한수(韓脩)한수원(韓壽遠)한숙창(韓叔昌)한순(韓恂)한순(韓楯)
    한술(韓述)한승정(韓承貞)한시각(韓時覺)한악(韓渥)한안(韓安)
    한언(韓堰)한언침(韓彦沈)한여복(韓汝復)한여직(韓汝溭)한여철(韓汝哲)
    한연(韓淵)한영(韓濙)한영(韓永)한영(韓詠)한옥(韓玉)
    한온(韓蘊)한용간(韓用幹)한용구(韓用龜)한용탁(韓用鐸)한원진(韓元震)
    한위(韓偉)한은(韓垽)한응성(韓應聖)한응인(韓應寅)한의(韓㠖)
    한익모(韓翼謨)한익진(韓翼鎭)한인급(韓仁及)한장석(韓章錫)한정교(韓正敎)
    한정국(韓定國)한종손(韓終孫)한종유(韓宗愈)한준(韓準)한준겸(韓浚謙)
    한중례(韓仲禮)한중혁(韓重爀)한중희(韓重熙)한지(韓祉)한지원(韓智源)
    한진(韓縝)한진서(韓鎭書)한찬남(韓纘男)한창수(韓昌洙)한천(韓蕆)
    한철우(韓喆愚)한철호(韓哲浩)한춘립(韓春立)한충(韓忠)한치례(韓致禮)
    한치상(韓致相)한치원(韓致元)한치윤(韓致奫)한치응(韓致應)한치의(韓致義)
    한치인(韓致仁)한치형(韓致亨)한태동(韓泰東)한필교(韓弼敎)한필명(韓必明)
    한필원(韓必遠)한현모(韓顯謨)한형길(韓亨吉)한형윤(韓亨允)한혜(韓惠)
    한호성(韓好誠)한호운(韓浩運)한확(韓確)한회(韓懷)한회일(韓會一)
    한효순(韓孝純)한효우(韓孝友)한효원(韓效元)한효중(韓孝仲)한훈(韓焄)
    한훈(韓訓)한휘(韓暉)한흥근(韓興根)한흥일(韓興一)공혜왕후(恭惠王后)
    궤홍(軌泓)소혜왕후(昭惠王后)안순왕후(安順王后)인열왕후(仁烈王后)장순왕후(章順王后)
    지탁(知濯)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한충(韓忠, 1486 丙午生) : 문과(文科) 중종8년(1513)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기백(韓紀百, 1636 丙子生) : 문과(文科) 현종5년(166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복(韓輹) : 문과(文科) 명종10년(155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훈(韓訓) : 문과(文科) 성종25년(149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명상(韓命相, 1651 辛卯生) : 문과(文科) 숙종16년(1690)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재회(韓在誨, 1681 辛酉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함경도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세량(韓世良, 1653 癸巳生) : 문과(文科) 숙종25년(1699)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항(韓沆, 1650 庚寅生) : 문과(文科) 숙종12년(1686)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태동(韓泰東, 1646 丙戌生) : 문과(文科) 현종10년(1669)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한혜(韓惠, 1403 癸未生) : 문과(文科) 태종17년(1417)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등 모두 139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73명, 무과 167명, 생원진사시 772명, 역과 85명, 의과 24명, 음양과 26명, 율과 43명, 주학 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대동항렬자
    27世
    용(用)○
    28世
    ○이(履)
    29世
    ○교(敎)
    30世
    ○석(錫)
    31世
    ○수(洙)
    32世
    상(相)○
    33世
    ○희(熙)
    ○덕(悳)
    34世
    재(載)○
    35世
    ○대(大)
    ○탁(鐸)
    36世
    ○원(元)
    태(泰○)
    37世
    ○옥(玉)
    ○식(植)
    38世
    ○헌(憲)
    39世
    ○오(五)
    40世
    ○립(立)
    41世
    ○세(世)
    42世
    ○선(善)
    43世
    ○구(九)
    44世
    승(升)○
    45世
    -
    46世
    -

     충성공파 - 한명회(韓明澮)
    27世
    진(鎭)○
    ○용(用)
    28世
    ○호(浩)
    ○이(履)
    29世
    동(東)○
    ○교(敎)
    30世
    ○현(炫)
    ○석(錫)
    31世
    기(基)○
    ○수(洙)
    32世
    ○흠(欽)
    상(相)○
    33世
    태(泰)○
    ○희(熙)
    34世
    ○근(根)
    재(載)○
    35世
    병(炳)○
    ○탁(鐸)
    36世
    ○중(重)
    태(泰)○
    37世
    용(鎔)○
    ○식(植)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문정공파(文靖公派) - 한계희(韓繼禧)
    27世
    진(鎭)○
    응(應)○
    ○용(用)
    28世
    ○원(源)
    ○회(會)
    ○이(履)
    29世
    ○동(東)
    백(百)○
    ○교(敎)
    30世
    ○우(愚)
    ○택(澤)
    ○석(錫)
    31世
    기(基)○
    동(東)○
    ○수(洙)
    석(晳)○
    32世
    만(萬)○
    ○현(鉉)
    상(相)○
    ○섭(燮)
    33世
    ○구(九)
    ○희(熙)
    재(在)○
    34世
    병(丙)○
    ○규(奎)
    ○용(鏞)
    35世
    ○녕(寧)
    ○대(大)
    ○탁(鐸)
    36世
    성(成)○
    ○원(元)
    37世
    ○희(熙)
    ○옥(玉)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안양공파(安襄公派) - 한종손(韓終孫)
    28世
    용(用)○
    ○이(履)
    29世
    규(圭)○
    ○교(敎)
    30世
    호(鎬)○
    석(錫)○
    31世
    ○수(洙)
    ○연(淵)
    ○택(澤)
    32世
    병(秉)○
    상(相)○
    33世
    ○희(熙)
    34世
    재(載)○
    ○규(奎)
    기(基)○
    35世
    ○탁(鐸)
    ○종(鍾)
    ○현(鉉)
    ○진(鎭)
    36世
    ○태(泰)
    37世
    ○술(述)

     판사공파(判事公派) - 한제(韓劑)
    27世
    광(光)○
    용(用)○
    28世
    ○이(履)
    29世
    ○교(敎)
    30世
    ○석(錫)
    31世
    ○수(洙)
    32世
    상(相)○
    33世
    ○희(熙)
    34世
    재(載)○
    규(奎)○
    35世
    ○현(鉉)
    ○탁(鐸)
    ○종(鍾)
    36世
    태(泰)○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8世孫은 2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
    청주(淸州)는 충청북도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도청소재지이다. 삼한시대에 마한의 땅이었다가 백제시대에 상당현(上黨縣), 일명 낭비성(娘臂城) 또는 낭자곡(娘子谷)이라고도 하였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淸州)로 지명을 고쳤고 983년(성종 2) 청주목이 된 뒤 995년(성종 14)에는 절도사를 두었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牧)을 설치함에 따라 다시 청주목이 되고,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청주는 주(州)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복구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청주목을 유지하면서 충청도의 정치·행정의 중심지였으며, 1651년(효종 2)에는 충청도의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전되어 충청도의 군사적인 중심지도 겸하였다. 그러나 역모사건 등으로 1656~1667년, 1681~1689년, 1804~1813년, 1826~1834년, 1862~1871년 등 여러 차례 서원현(西原縣) 등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청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이 되었다. 1906년 관찰사를 충주에서 청주로 이전함으로써 비로소 충청북도의 주도(主都)가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청주면(淸州面)이라 개칭하였고, 1931년에는 지방제도 개정에 따라 읍으로, 1946년에는 청주부(淸州府)로 승격하였다. 1949년 지방자치법에 따라 청주시로 개칭하였고 1983년 전국 행정구역 조정으로 청주시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1995년 동부·서부 출장소가 동부는 상당구(上黨區)로, 서부는 흥덕구(興德區)로 승격하여 현재 상당구·흥덕구 2개 구가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주한씨는
    1985년에는 142,894가구 597,600명, 2000년에는 199,642가구 642,99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52,68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