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김해허씨(金海許氏)
    유래
     시조 : 허염(許琰)
    시조 허염(許琰)은 가락국(駕洛國) 김수로왕비(金首露王妃) 허황옥(許黃玉, 33~189.3.1)의 35세손으로 고려 문종때 출생하여 공을세워 삼중대광으로 가락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김해에 살았으므로 본관을 김해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허직(許㮨, 1840 庚子生) : 문과(文科) 철종12년(1861) 식년시 병과(丙科)
     허수겸(許守謙, 1563 癸亥生) : 문과(文科) 선조21년(1588) 식년시 병과(丙科)
     허선(許銑, 1792 壬子生) : 문과(文科) 헌종6년(1840) 식년시 병과(丙科)
     허책(許策, 1745 乙丑生) : 문과(文科) 영조51년(1775) 별시 병과(丙科)
     허선(許○) : 문과(文科) 세조2년(1456) 식년시 정과(丁科)
     허백기(許伯琦, 1493 癸丑生)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별시 을과(乙科)
     허원(許垣, 1691 辛未生) : 문과(文科) 영조39년(1763) 기로정시 을과(乙科)
     허석(許○, 1838 戊戌生) : 문과(文科) 고종20년(1883) 별시 병과(丙科)
     허만필(許萬弼, 1874 甲戌生) : 문과(文科) 고종30년(1893) 별시2 을과(乙科)
     허식(許湜, 1735 乙卯生) : 문과(文科) 영조38년(1762) 식년시 갑과(甲科)
    등 모두 12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5명, 무과 40명, 생원진사시 66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
    김해(金海)는 경상남도 김해시(金海市) 일대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洛東江) 하구 남서쪽에 위치하여 일찍부터 가락국(駕洛國)의 문화 중심지로 발전하여 왔다. 532년(신라 법흥왕 19) 신라에 병합되어 금관군(金官郡)이 되었다. 680년(문무왕 20)에 금관소경(金官小京)이 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바꾸어 양주(良州: 梁山)의 관할로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김해부(金海府)로 개칭되었고 임해현(臨海縣)으로 다시 강등되었다가 곧 임해군으로 승격되었다. 995년(성종 14)에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여 영동도(嶺東道)에 속하였다가 1012년(현종 4)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으나 1018년부터는 의안군(義安郡: 昌原)·함안군(咸安郡)·칠원현(漆原縣: 漆原面)·웅신현(熊神縣: 鎭海)등을 영현으로 삼았다. 1270년(원종 11) 방어사(防禦使) 김훤이 인접지역인 밀성(密城)의 난을 평정하여 김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1293년(충렬왕 19) 현으로 강등되었다. 1308년 금주목(金州牧)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충선왕 2) 김해부(金海府)로 격하되었다. 1413년(태종 13) 김해도호부로 승격되어 세조 때 진(鎭)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김해군이 되었고, 1918년에 좌부면과 우부면이 김해면으로 통합되었다. 1931년에는 김해면이 김해읍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김해군의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 되었으며 1995년에는 김해군과 통합하여 김해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김해허씨는
    1985년에는 29,314가구 121,607명, 2000년에는 37,788가구 121,03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34,06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