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허사문(許士文)
시조 허사문(許士文)은 가락국(駕洛國) 김수로왕비(金首露王妃) 허황후(許黃后)의 30세손이며 고려때에 시산군(詩山君)을 지냈고, 부인은 개성왕씨(開城王氏)로 고려 태조 왕건의 딸이다. 시산은 현 태인의 옛이름이다. 인천이씨는 태인허씨에서 분관 되었다.
인물
허포(許褒)가 고려 때 기천 현령(奇川縣令), 풍해도 관찰사(豊海道觀察使) 등을 지낸 후 태산군(泰山君)에 봉해졌으며,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역임한 허엄(許儼)과 그의 아들로 이부 시랑(吏部侍郞)을 지냈고 시산부원군(詩山府院君)에 봉해진 허벽(許壁)이 유명했다. 한편 숙종과 예종 때 문학(文學)이 뛰어났고 청렴 충직(淸廉忠直)하기로 이름난 허경(許慶)은 1101년(숙종 6) 즉위사(卽位使)가 되어 요(遼)나라에 다녀왔으며 여러 관직을 거쳐 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러 치사(致仕)했다. 그의 아들 6형제가 모두 관직에 올라 가문을 크게 중흥시켰는데, 둘째 아들 허사문(許斯文)이 낙안 군수(樂安郡守)를, 네째 허사행(許斯行)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막내 허사제(許斯悌)는 사평(司評)을 지내 태인허씨 가문을 빛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허사문(許斯文) : 문과(文科) 세종11년(1429)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허진(許縉, 1545 乙巳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허섬(許暹, 1589 己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광해군7년(1615) 식년시 이등(二等)
허형(許○, 1851 辛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4년(1867) 식년시 삼등(三等)
허계(許繼, 1527 丁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6년(1561) 식년시 이등(二等)
허구연(許九淵, 1545 乙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15년(1582) 식년시 이등(二等)
허숙현(許叔賢)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년(1507) 식년시 삼등(三等)
허국빈(許國賓, 161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6년(1648) 식년시 삼등(三等)
허숙현(許叔賢)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년(1507) 식년시 삼등(三等)
허석호(許錫祜, 1794 甲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철종1년(1850)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1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9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泰仁)은 전라북도 정읍시(井邑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태산현(泰山縣)과 인의현(仁義縣)의 합명이다. 태산현은 본래 백제의 대시산현(大尸山縣)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태산(太山)으로 고쳐 대산(大山)·태산(泰山) 등으로 불렸다. 940년(고려 태조 23) 빈성을 인의현으로 고치고, 1354년(공민왕 3) 대산군 태산(太山)으로 고치고 인의를 편입하였다. 인의현은 백제 때 빈굴(賓屈)·빈성(斌城)·부성(賦城) 등으로 불렸다가 신라 때 무성(武城)으로 고쳤고, 고려에 인의(仁義)로 고쳤다가 1409년(태종 9)에 태산(泰山)과 합하여 태인현(泰仁縣)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관할의 고부군·태인군·정읍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전라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부군과 태인군이 폐지되었고, 정읍군에 병합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1930년에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되었고, 1931년에 정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정주읍이 시로 승격하여 정주시와 정읍군으로 나누어졌고, 1995년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태인허씨는
1985년에는 1,305가구 5,955명, 2000년에는 2,070가구 6,47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87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