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수원현씨(水原玄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현수룡(玄水龍,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현의(玄義, 1583 癸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현상(玄上,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현중일(玄仲逸, 1613 癸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현용진(玄龍進, 1588 戊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현덕환(玄德還,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현백(玄白,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 모두 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7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수원
수원(水原)은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수성(隋城)이라고도 하였다. 삼국시대에는 매홀군(買忽郡),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수성군(水城郡)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수주(水州)로, 1271년(원종 12)에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후에 수주목(水州牧)이 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 수원부로 되었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군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다시 도호부로 고쳤고, 세조 때에는 진(鎭)을 두었으며, 1789년(정조 13)에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에서 수원의 진산인 화산(華山)으로 옮기고, 팔달산 동측으로 수원의 읍치를 이전하였다. 1793년에는 수원을 개성부·강화부·광주부와 같은 지위인 유수부(留守府)로 승격시키고, 1794년부터 수원성 축성을 시작하였다. 1796년에 축성을 완료하여 수원은 새로운 성곽도시로 변모했으며, 옛 읍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오늘날까지도 보여주고 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관할의 수원군으로 되었다가, 1896년 경기도 수원군이 되었다. 1931년 수원면(水原面)이 수원읍(水原邑)으로 승격되었고, 1949년 수원군을 분할하여 수원시로 승격시키고 나머지 지역은 화성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7년에 경기도청이 옮겨옴에 따라 수원은 명실상부한 경기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988년 구제 실시로 권선구와 장안구를 설치하고, 1993년 팔달구(八達區)를 설치하였다. 1995년 화성군 태안읍 영통리가 팔달구로, 화성군 반월면 당수리·입북리가 권선구로 편입되어 시역이 확장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수원현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1가구 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