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여주현씨(驪州玄氏)
    유래
    여주의 옛이름은 천녕으로 천녕현씨로 보인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현경오(玄敬吾, 1627 丁卯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현우석(玄禹錫, 1609 己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7년(1639) 식년시 삼등(三等)
     현화조(玄和祖, 163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2년(1651) 식년시 이등(二等)
     현하창(玄夏昌, 1678 戊午生) : 역과(譯科) 숙종25년(1699) 증광시
     현계백(玄啓百, 1737 丁巳生) : 역과(譯科) 영조47년(1771) 식년시 ()
     현재장(玄載章, 1720 庚子生) : 역과(譯科) 영조16년(1740) 증광시 ()
     현하흥(玄夏興, 1672 壬子生) : 역과(譯科) 숙종16년(1690) 증광시 ()
     현하헌(玄夏憲, 1702 壬午生) : 역과(譯科) 경종3년(1723) 식년시 ()
     현중하(玄重夏, 1638 戊寅生) : 역과(譯科) 숙종31년(1705) 식년시 ()
     현문항(玄文恒, 1688 戊辰生) : 역과(譯科) 숙종37년(1711) 식년시 ()
    등 모두 1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역과 7명, 율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여주
    여주(驪州)는 경기도 여주시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골내근현(骨乃斤縣)과 술천성(述川城)이 있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효현(黃驍縣)으로 바뀌었고 기천군(沂川郡: 川寧縣, 述川城)의 관할에 들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황려현(黃驪縣: 黃利縣)으로 바뀌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원주에 영속되었다. 1257년(고종 44)에 영의현(永義縣)으로 개편되었고, 1305년(충렬왕 31)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388년(우왕 14)에 황려부(黃驪府)로 다시 승격하였다가 1389년(공양왕 1) 여흥군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음죽현(陰竹縣)의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면서 관할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69년(예종 1)에 세종대왕 능인 영릉(英陵)을 왕대리(旺垈里)로 옮기면서 천령현(川寧縣)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501년(연산군 7)에 여주목을 폐하고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두었다. 1895년(고종 32)에 충주부 여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여성(驪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관할 15개 면을 9개로 통합하였고, 1941년에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여주현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2가구 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9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