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현맹인(玄孟仁)
시조는 현맹인(玄孟仁)은 고려 우왕 때 문과에 올라 조선초에 사간(司諫)을 지냈다.
-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 등에는 천녕을 본관으로 한 현(玄)씨는 소개되어 있지 않다. 다만, 여주의 별호가 천녕이어서 같은 성씨로 추측할 뿐이다.
인물
조선 영조 때에 청백리(淸白吏)에 오른 현재덕(玄在德)이 유명하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현덕수(玄德秀, 1635 乙亥生) : 무과(武科) 현종3년(1662) 증광시 병과(丙科)
현우용(玄佑鏞, 185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4년(1867) 식년시 삼등(三等)
현찬(玄璨, 1595 乙未生) : 역과(譯科) 광해군7년(1615) 식년시
현욱(玄頊, 1597 丁酉生) : 역과(譯科) 광해군8년(1616) 증광시
현재신(玄在新, 1788 戊申生) : 역과(譯科) 순조5년(1805) 증광시
현탁(玄鐸, 1813 癸酉生) : 역과(譯科) 순조31년(1831) 식년시
현후(玄○, 1749 己巳生) : 역과(譯科) 영조49년(1773) 증광시
현일(玄鎰, 1807 丁卯生) : 역과(譯科) 순조27년(1827) 증광시
현명운(玄明運, 1843 癸卯生) : 역과(譯科) 철종12년(1861) 식년시
현재명(玄在明, 1768 戊子生) : 역과(譯科) 정조10년(1786) 식년시 ()
등 모두 20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1명, 역과 98명, 의과 46명, 음양과 13명, 율과 4명, 주학 45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여주
천녕(川寧)은 경기도 여주시(驪州市)에 속해 있던 옛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술천현(述川縣) 또는 성지매(省知買)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기천군(沂川郡)으로 고쳤다가 고려 초에 천녕현(川寧縣)으로 개칭하여 광주(廣州)에 속하였다. 그 후 조선 태종 때 현감을 두고 예종 때 와서 여주(驪州)로 병합하여 그 지역을 직촌(直村)이라 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천녕현씨는
1985년에는 155가구 663명, 2000년에는 78가구 24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0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