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김니(金泥)
시조 김니(金泥)는 해풍김씨 시조 김숭선(金崇善)의 6세손으로 부사를 역임했으며 덕수에 토착하여 살아온 사족이어서 본관을 덕수로 하였다. 김니(金泥)를 1세조로 하는 계통도 있으며, 그의 아들 김수연(金壽延)을 1세조로 하는 계통도 있다.
- 덕수는 해풍김씨(海豐金氏)의 세거지로 해풍김씨 개성야교파(開城野橋派)이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희성(金希聖, 1507 丁卯生) : 문과(文科) 중종29년(153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두익(金斗翼, 1621 辛酉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증광시 병과(丙科)
김억(金○, 1601 辛丑生) : 문과(文科) 인조20년(1642) 식년시 병과(丙科)
김춘(金春, 1533 癸巳生) : 문과(文科) 선조10년(1577) 별시 을과(乙科)
김기호(金基鎬, 1843 癸卯生) : 문과(文科) 고종17년(1880) 춘당대시 을과(乙科)
김예종(金禮宗) : 문과(文科) 명종19년(1564) 별시 병과(丙科)
김준익(金○翼, 1626 丙寅生) : 문과(文科) 숙종6년(1680) 정시 병과(丙科)
김광악(金光岳, 1735 乙卯生) : 문과(文科) 영조35년(1759) 정시 병과(丙科)
김첩(金○, 1595 乙未生) : 문과(文科) 인조3년(1625) 별시 병과(丙科)
김영남(金英男, 1610 庚戌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을과(乙科)
등 모두 3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9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23명, 의과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항렬자
21世
○풍(豊)
|
22世
병(秉)○
|
23世
○환(煥)
|
24世
규(圭)○
|
25世
기(基)○ 종(鍾)○
|
26世
○진(鎭) ○균(鈞)
|
27世
윤(潤)○
|
28世
-
|
29世
-
|
3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2世孫은 21代孫)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개풍
덕수(德水)는 황해도 개풍군(開豊郡)에 속해 있던 옛 지명이다. 고구려 때는 덕물현(德勿縣) 또는 인물현(仁物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덕수현(德水縣)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강음(江陰)·정주(定州) 등과 함께 개성현으로 편입되었다. 1389년(공양왕 1)에 덕수현에 감무를 두었다. 1442년(세종 24)에는 해풍군(海豊郡)과 병합하여 풍덕군이 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개성군에 편입되었다가 1930년 개성군의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되면서 기존의 개성군 일부가 풍덕군과 통합되어 개풍군(開豊郡)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덕수김씨는
1985년에는 1,188가구 4,385명, 2000년에는 1,091가구 3,50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43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