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남양홍씨(南陽洪氏) - 당홍계
    유래
     시조 : 홍은열(洪殷悅)
    시조 홍천하는 고구려 27대 왕인 영유왕(榮留王, ?~642)때 중국 당나라에서 8학사의 한사람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유학과 문화를 혁신시켰다. 신라 27대왕인 선덕여왕때 유학의 발전에 공을세워 당성(남양)백에 봉해졌고 태자태사가 되었으며 본관을 당성으로 하였다. 당성이 후에 남양으로 지명이 바뀌어 본관을 남양으로 하고있다.
    그리고 고려 개국공신며 삼중대광태사인 홍은열을 중시조로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홍은열은 원래 이름이 홍유(儒)이었는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태조가 '은(殷)나라 부열(傅說 : 중국 은나라 고종 때의 명재상)과 같다.'며 이름을 은열로 하사 했다고 한다.
    회인 홍씨도 후에 합본하였다고 한다.
    주요 인물
    홍경래(洪景來)홍경일(洪京日)홍라희(洪羅喜)홍범도(洪範圖)홍진기(洪璡基)
    홍경림(洪景霖)홍경손(洪敬孫)홍경주(洪景舟)홍계적(洪啓迪)홍계훈(洪啓薰)
    홍계희(洪啓禧)홍관(洪灌)홍광일(洪光一)홍규(洪奎)홍균(洪鈞)
    홍기(洪器)홍기조(洪基兆)홍길민(洪吉旼)홍녹주(洪祿遒)홍다구(洪茶丘)
    홍달손(洪達孫)홍덕연(洪德演)홍득우(洪得禹)홍득일(洪得一)홍림(洪霖)
    홍명구(洪命耉)홍명원(洪命元)홍명일(洪命一)홍명하(洪命夏)홍명형(洪命亨)
    홍무적(洪茂績)홍병기(洪秉箕)홍복원(洪福源)홍봉세(洪奉世)홍빈(洪彬)
    홍상간(洪相簡)홍상재(洪尙載)홍서봉(洪瑞鳳)홍서익(洪瑞翼)홍석구(洪錫龜)
    홍석기(洪錫箕)홍선(洪瑄)홍선(洪詵)홍성(洪晟)홍성민(洪聖民)
    홍성익(洪成益)홍세공(洪世恭)홍세영(洪世英)홍수(洪綏)홍수량(洪受湸)
    홍수주(洪受疇)홍수헌(洪受瀗)홍순(洪淳)홍순목(洪淳穆)홍순학(洪淳學)
    홍언박(洪彦博)홍언유(洪彦猷)홍여방(洪汝方)홍여순(洪汝諄)홍영식(洪英植)
    홍우경(洪友敬)홍우서(洪禹瑞)홍우전(洪禹傳)홍원식(洪元植)홍원철(洪元哲)
    홍유손(洪裕孫)홍융(洪戎)홍의(洪義)홍의영(洪儀泳)홍이간(洪履簡)
    홍이서(洪彛敍)홍이평(洪以平)홍인걸(洪仁傑)홍인계(洪仁桂)홍인우(洪仁祐)
    홍임제(洪任濟)홍자번(洪子藩)홍자한(洪子翰)홍재룡(洪在龍)홍재학(洪在鶴)
    홍적(洪迪)홍종응(洪鍾應)홍주익(洪柱翼)홍준(洪遵)홍중방(洪仲方)
    홍중보(洪重普)홍중선(洪仲宣)홍지해(洪趾海)홍직필(洪直弼)홍진(洪縉)
    홍징(洪徵)홍처대(洪處大)홍처량(洪處亮)홍처후(洪處厚)홍천민(洪天民)
    홍춘경(洪春卿)홍탁(洪鐸)홍학순(洪學淳)홍학연(洪學淵)홍호인(洪好人)
    홍혼(洪渾)홍흥(洪興)홍희남(洪喜男)순화원비(順和院妃)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홍명구(洪命耉, 1596 丙申生) : 문과(文科) 광해군11년(1619)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석기(洪錫箕, 1606 丙午生) : 문과(文科) 인조19년(1641)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우기(洪宇紀, 1633 癸酉生) : 문과(文科) 현종6년(1665) 정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응(洪應) : 문과(文科) 문종1년(1451) 증광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홍계희(洪啓禧, 1703 癸未生) : 문과(文科) 영조13년(1737)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습(洪○, 1586 丙戌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춘경(洪春卿) : 문과(文科) 중종31년(153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호인(洪好人, 1674 甲寅生) : 문과(文科) 숙종32년(1706)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수점(洪受漸, 1646 丙戌生) : 문과(文科) 숙종10년(168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명형(洪命亨, 1581 辛巳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159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30명, 무과 151명, 생원진사시 836명, 역과 112명, 의과 24명, 음양과 23명, 율과 5명, 주학 110명)
  • ※ 과거급제자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9世
    병(秉)
    30世
    섭(燮)
    31世
    재(在)
    32世
    종(鍾)
    33世
    순(淳)
    34世
    표(杓)
    식(植)
    35世
    성(性)
    지(志)
    36世
    기(基)
    의(義)
    37世
    석(錫)
    진(鎭)
    38世
    택(澤)
    락(洛)
    39世
    근(根)
    주(柱)
    40世
    환(煥)
    희(熙)
    41世
    시(時)
    중(重)
    42世
    용(鎔)
    수(銖)
    43世
    연(演)
    홍(洪)
    44世
    영(榮)
    동(東)
    45世
    사(思)
    연(然)
    46世
    균(均)
    철(喆)
    47世
    경(庚)
    상(商)
    48世
    태(泰)
    구(求)
    49世
    정(禎)
    락(樂)
    50世
    형(炯)
    욱(煜)
    51世
    요(堯)
    혁(赫)
    52世
    호(鎬)
    련(連)
    53世
    수(洙)
    용(溶)
    54世
    모(模)
    환(桓)
    55世
    찬(燦)
    훤(煊)
    56世
    증(增)
    배(培)
    57世
    옥(屋)
    선(銑)
    58世
    윤(潤)
    준(準)
    59世
    련(?)
    백(栢)
    60世
    -
    61世
    -
    62世
    -
    63世
    -
    64世
    -
    65世
    -
    66世
    -
    67世
    -
    68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0世孫은 2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수원
    남양(南陽)은 지금의 경기도 수원시(水原市)와 화성군(華城郡) 일원을 포함한 지역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에 당항성(唐項城)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치고, 쌍부(雙阜)·정송(貞松)·안양(安陽) 등을 관할하였다.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 水原)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군이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 水原)의 관할에 들었고, 후에 인주(仁州: 仁川)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 재양현(載陽縣: 安陽縣)을 관할하였다. 1290년(충렬왕 16)에 익주(益州)로, 후에 강령도호부(江寧都護府)로, 다시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으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가 잠시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792년(정조 16)에 수원진을 남양으로 옮겨 설치하였고 별호는 영제(寧堤)·과포(戈浦)라 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남양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가 1906년 월경지 정리에 따라 수원의 두입지(斗入地)인 팔탄·분향·장안·초장·압정·오정 등 6개면이 남양군에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양군이 폐지되어 수원군에 병합되었다. 이때 일부 면이 은덕·쌍수·마도·송산·서신·비봉면으로 통합되고 수원군에서 편입했던 6개면은 팔탄면·장안면·우정면으로 통합되어 다시 수원군에 편입되었다. 1931년 수원면이 수원읍으로 승격되고, 1949년 수원군을 분할하여 수원시로 승격시키고 수원군을 화성군으로 개칭하였다. 1963년 주변의 20개 리를 편입하였으며, 1967년 6월 서울시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시로 이전되었다. 1983년 전국행정구역 조정으로 용인시 수지면(水枝面) 하리(下里)·이의리(二儀里)의 2개 리가 편입되었다. 1987년 화성군 매송면(梅松面) 금곡리(金谷里)·호매실리(好梅實里)가 편입되었다. 1988년 7월 장안구·권선구 2개 구가 신설되었고, 1993년 팔달구가 신설되었다. 1994년 권선구에 입북동·당수동을, 팔달구에 영통동이 각각 신설되었다. 1995년 권선구 곡선동이 권선동과 곡선동으로 나뉘고, 화성군 태안읍 신리와 망포리 일원이 팔달구 매탄3동에 편입되었다. 2003년 11월 영통구가 신설되었다. 2004년 현재 4구 4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남양홍씨(당홍계)는
    1985년에는 92,124가구 382,090명, 2000년에는 117,638가구 379,70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87,488명으로 조사되었다.
  • ※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를 구분하여 조사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