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부계홍씨(缶溪洪氏, 의흥)
    유래
     시조 : 홍란(洪鸞)
    시조 홍란(洪鸞)은 고려 중엽 벼슬이 시중에 이르렀다고 한다. 홍란(洪鸞)의 선조는 남양홍씨(당홍)와 같은 뿌리이며 한양에서 살다가 부계에 정착하여살았다. 그후의 후손은 알 수 없으며 고려때 직장동정을 지낸 홍좌(洪佐)를 1세조로 하고 본관을 부계(의흥)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인물
    - 홍귀달(貴達) :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하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웠으며, 예종 때에는 '세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명나라에 다녀와서 '오례의주(五禮儀註)'를 개정하였다.
    - 홍언국(彦國) : 홍귀달의 아들. 형 홍언충(彦忠)과 함께 연산군 때 문장과 글씨로 각각 이름을 날렸다. 언국은 지조가 굳어 연산군이 그의 딸을 탐내어 입궐을 강요하였으나 거절하자 거제도에 유배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홍귀달(洪貴達, 1438 戊午生) : 문과(文科) 세조7년(1461) 별시 삼등(三等)
     홍언방(洪彦邦) : 문과(文科) 연산군8년(1502) 별시 삼등(三等)
     홍호(洪鎬, 1586 丙戌生) : 문과(文科) 선조39년(1606) 식년시 병과(丙科)
     홍언충(洪彦忠, 1473 癸巳生) : 문과(文科) 연산군1년(1495) 별시 을과(乙科)
     홍여하(洪汝河, 1620 庚申生) : 문과(文科) 효종5년(1654) 식년시 을과(乙科)
     홍택하(洪宅夏, 1752 壬申生) : 문과(文科) 정조10년(1786) 식년시 을과(乙科)
     홍수구(洪受九, 1625 乙丑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홍언방(洪彦邦)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성종17년(1486) 식년시
     홍상민(洪相民, 1654 甲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7년(1691) 증광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홍상민(洪相民, 1654 甲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6년(1690) 증광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등 모두 1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10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0世
    구(龜)
    21世
    윤(潤)
    22世
    병(秉)
    23世
    환(煥)
    24世
    효(孝)
    25世
    철(鐵)
    26世
    영(永)
    27世
    상(相)
    28世
    엽(燁)
    29世
    기(基)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1世孫은 2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
    부계(缶溪)는 경상북도 군위군(軍威郡) 부계면 일대의 옛 지명으로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부림현(缶林縣)이라 불리었다가 937년(태조 20) 부계(缶溪)로 이름이 바뀌었다. 1018년(현종 9)에 상주(尙州)로, 후에 선주(善州: 善山)로 편입시켰고, 1391년(공양왕 3)에는 의흥군(義興郡)에 예속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이 되었으며, 1896년 경상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의흥군이 폐지되어 군위군 관할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부계홍씨는
    1985년에는 917가구 3,628명, 2000년에는 242가구 70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