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부림홍씨(缶林洪氏, 부계)
    유래
    부림(缶林)은 의흥(義興)의 옛 이름으로 부계(缶溪)라고도 하였다. 신묘보(辛卯譜) 범례에 보면, 선대의 비문, 호적 등에 같은 후손이면서 부계(缶溪)로 쓴 경우가 있다 하였다.
    따라서 부림홍씨와 부계홍씨는 모두 같은 후손이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홍구서(洪龜瑞, 1726 丙午生) : 문과(文科) 영조37년(1761) 정시 병과(丙科)
     홍종섭(洪宗涉, 1765 乙酉生) : 문과(文科) 정조13년(1789) 식년시 병과(丙科)
     홍은표(洪殷標, 1809 己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14년(1848) 증광시 삼등(三等)
     홍익구(洪益龜, 1692 壬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경종3년(1723) 증광시 이등(二等)
     홍서구(洪瑞龜, 1677 丁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경종3년(1723) 증광시 삼등(三等)
     홍용만(洪龍晩, 1865 乙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증광시 삼등(三等)
     홍응구(洪應龜, 1704 甲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년(1727) 증광시 삼등(三等)
     홍만균(洪萬均, 187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홍주서(洪胄瑞, 1700 庚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9년(1733) 식년시 삼등(三等)
     홍우구(洪禹龜, 1701 辛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5년(1729)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생원진사시 1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부림(缶林)은 경상북도 군위군(軍威郡) 부계면 일대의 옛 지명으로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부림현(缶林縣)이라 불리었다가 937년(태조 20) 부계(缶溪)로 이름이 바뀌었다. 1018년(현종 9)에 상주(尙州)로, 후에 선주(善州: 善山)로 편입시켰고, 1391년(공양왕 3)에는 의흥군(義興郡)에 예속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이 되었으며, 1896년 경상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의흥군이 폐지되어 군위군 관할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부림홍씨는
    1985년에는 1,628가구 6,740명, 2000년에는 3,701가구 11,77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23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