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풍산홍씨(豊山洪氏)
    유래
     시조 : 홍지경(洪之慶)
    시조 홍지경(洪之慶)은 1242년(고려 고종 29년) 문과에 장원하여 국학직학에 이르렀다. 그가 풍산에 정착하여 대대로 살았기 때문에 후손들이 본관을 풍산으로 하였다.

    - 묘소는 경북 안동군 풍산면 신성포 오산당에 있다.
    인물
    - 홍주원(柱元) : 선조의 부마이다.
    - 홍만용(萬容) : 홍주원의 큰아들. 숙종 때 예조판서를 지냈다.
    - 홍현보(鉉輔) : 홍만용의 손자. 영조 때 예조판서를 지냈다.
    - 홍봉한(鳳漢), 홍인한(麟漢)형제 : 현보의 아들이다. 홍봉한은 영조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사도세자의 부인이자 정조의 생모인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이다. 이들 두 형제는 사도세자의 죽음으로 인한 궁중참변의 격동을 맞아 형 봉한은 영조의 실덕(失德)을 힐책하는 시파로, 아우 인환(좌의정)은 사도세자의 실덕을 규탄하는 벽파로 갈리어 날카롭게 대립하였다. 이런 소용돌이 속에서 정조를 보호한 사람이 홍국영(國榮)인데, 그는 홍주원의 둘째 아들인 홍만형(萬衡)의 5대손으로 정조가 즉위하자 도승지와 숙위대장이 되어 세도정치를 휘두르지만 4년을 채우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
    - 홍양호(良浩) : 당대의 뛰어난 학자요 문장가로 '영조실록", "국조보감(國朝寶鑑)'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중국의 석학들과 교류하고 돌아와 고증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1764년(영조 40)에는 일본에서 벚나무를 들여와 서울 우이동에 심어 경승지를 이루게 하였다.
    - 홍만선(萬選) : 숙종 때의 실학자로 실학사상 많은 업적을 남겼다. 저서 '산림경제(山林經濟)'는 후일 실학 연구에 커다란 바탕이 되었다.
    주요 인물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홍간(洪侃)홍경모(洪敬謨)홍경보(洪景輔)홍국영(洪國榮)
    홍낙명(洪樂命)홍낙민(洪樂敏)홍낙성(洪樂性)홍낙순(洪樂純)홍낙안(洪樂安)
    홍낙인(洪樂仁)홍낙임(洪樂任)홍대유(洪大猷)홍만선(洪萬選)홍만수(洪萬遂)
    홍만용(洪萬容)홍만적(洪萬迪)홍만조(洪萬朝)홍만종(洪萬宗)홍만형(洪萬衡)
    홍만회(洪萬恢)홍명주(洪命周)홍명한(洪名漢)홍명호(洪明浩)홍범식(洪範植)
    홍보(洪寶)홍봉상(洪鳳祥)홍봉주(洪鳳周)홍봉한(洪鳳漢)홍상한(洪象漢)
    홍석모(洪錫謨)홍석보(洪錫輔)홍석주(洪奭周)홍성보(洪聖輔)홍승목(洪承穆)
    홍승억(洪承億)홍승헌(洪承憲)홍양한(洪亮漢)홍양호(洪良浩)홍영(洪霙)
    홍우길(洪祐吉)홍우창(洪祐昌)홍원모(洪遠謨)홍원주(洪原周)홍의모(洪義謨)
    홍의호(洪義浩)홍이상(洪履祥)홍익진(洪翼鎭)홍인모(洪仁謨)홍인한(洪麟漢)
    홍인호(洪仁浩)홍종운(洪鍾韻)홍주국(洪柱國)홍주삼(洪柱三)홍주세(洪柱世)
    홍주원(洪柱元)홍주일(洪柱一)홍주진(洪柱震)홍중성(洪重聖)홍중우(洪重禹)
    홍중인(洪重寅)홍중징(洪重徵)홍중하(洪重夏)홍중해(洪重楷)홍중현(洪重鉉)
    홍중효(洪重孝)홍중휴(洪重休)홍진(洪震)홍집홍창한(洪昌漢)
    홍천경(洪千璟)홍철주(洪澈周)홍치(洪治)홍한주(洪翰周)홍현보(洪鉉輔)
    홍현주(洪顯周)홍희근(洪羲瑾)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홍낙임(洪樂任, 1741 辛酉生) : 문과(文科) 영조45년(1769) 희희과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만용(洪萬容, 1631 辛未生) : 문과(文科) 현종3년(1662)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중효(洪重孝, 1708 戊子生) : 문과(文科) 영조16년(1740)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보(洪釉, 1585 乙酉生) : 문과(文科) 인조1년(1623)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만용(洪萬容) : 문과(文科) 현종7년(166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천경(洪千璟, 1553 癸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1년(1609)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우길(洪祐吉, 1809 己巳生) : 문과(文科) 철종1년(1850)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인상(洪麟祥, 1549 己酉生) : 문과(文科) 선조12년(1579)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현보(洪鉉輔, 1680 庚申生) : 문과(文科) 숙종44년(1718)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주국(洪柱國, 1623 癸亥生) : 문과(文科) 현종3년(1662)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42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27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298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5世
    석(錫)
    종(鍾)
    26世
    영(永)
    순(淳)
    27世
    근(根)
    사(思)
    28世
    규(圭)
    29世
    현(鉉)
    30世
    수(洙)
    31世
    병(秉)
    32世
    사(思)
    33世
    -
    3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풍산(豊山)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일대의 옛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하지현(下枝縣)이라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안(永安)으로 개칭되어 예천군의 관할로 하였다. 923년(고려 태조 6)에는 풍산(豊山) 또는 풍악현(豊岳縣)이라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길주(吉州: 安東)에 예속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가 뒤에 안동도호부에 합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동군 풍산현의 4개 동 및 서선면 일부 7개동을 병합하여 풍산면으로 개칭하여 11개 동으로 개편 관할하다가 1973년에 풍산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95년 안동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풍산홍씨는
    1985년에는 8,323가구 35,176명, 2000년에는 11,222가구 36,42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4,59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