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홍주홍씨(洪州洪氏)
유래
시조 : 홍규(洪規)
시조 홍규(洪規)는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후백제 견훤(甄萱)을 칠때 홍주에서 처음만나 계책을 세워 수원을 얻고 견훤을 토평하는데 공을 세워 개국공신으로 해풍부원군(海豊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해풍(홍주)에 살아오면서 본관을 홍주로 하였다. 인물
홍규(洪規)의 아들 홍유후(洪儒厚)는 태사익찬공신(太師翊贊功臣)에 오르고, 손자 홍욱(洪旭)은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로 안평부원군(安平府院君)에 봉해졌으며 홍규(洪規)의 증손 홍공좌(洪功佐)가 1017년(고려 현종 8) 문과에 급제하고 정종이 즉위하자 좌습유 지제고(左拾遺知制誥)를 지낸 후 문종 때는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에 올랐고, 홍공좌(洪功佐)의 손자 홍민구(洪敏求)는 나이 일곱에 이미 시서(詩書)에 능통하여 주위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냈다.
고려시대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한 홍기교(洪箕敎)는 이조전서(吏曹典書)를 지낸 홍약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한 홍위(洪僞)와 함께 이름을 날렸고, 조선 세종 때 사헌부 감찰(司憲府 監察)을 지낸 전라도 관찰사 홍강(洪剛)의 아들 홍서주(洪敍疇)와 판사(判事)를 지낸 홍서주의 아들 홍빈(洪濱), 안용 현감을 역임한 손자 홍옥견(洪玉堅)은 현달하여 이름을 떨쳤다. 그 외 이조 참의(吏曹參議) 홍관(洪灌)과 부호군(副護軍) 홍상하(洪祥夏), 홍중헌(洪重憲) 등이 유명했으며, 예조 참판(禮曹參判) 홍재봉(洪在鳳)은 군수를 지낸 홍희준(洪喜俊)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홍석견(洪石堅) : 문과(文科) 중종15년(1520) 별시 병과(丙科)
홍찬서(洪纘緖, 1593 癸巳生) : 문과(文科) 인조7년(1629) 별시 병과(丙科) 홍서주(洪敍疇) : 문과(文科) 세종11년(1429)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홍빈(洪濱) : 문과(文科) 세조14년(1468) 춘당대시 병과(丙科) 홍수징(洪洙澄, 1641 辛巳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홍수호(洪洙浩, 1656 丙申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홍대운(洪大雲, 1602 壬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홍우(洪宇, 1629 己巳生) : 무과(武科) 숙종7년(1681) 식년시 병과(丙科) 홍천백(洪天白, 1666 丙午生) : 무과(武科) 숙종21년(1695) 별시 병과(丙科) 홍옥견(洪玉堅)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년(1507)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4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
홍주(洪州)는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사시량현(沙尸良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평현(新平縣)으로 개칭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운주(運州)로 개편하여 도단련사(都團練使)를 파견하였다가 1012년(현종 3) 도단련사를 폐지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둔 후 홍주(洪州)로 개칭하였다. 1356년(공민왕 5)에 홍주목(洪州牧)으로 승격하었다. 조선시대에는 현종 때 잠시 홍양현(洪陽縣)으로 되었다가 곧 복구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가 되었다가, 1896년 도제 실시로 충청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홍주부를 폐지하여 일부는 청양군(靑陽郡)에 속하고 그 나머지는 홍주면으로 축소되어 결성군(結城郡) 일원과 병합한 홍성군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홍주홍씨는
1985년에는 392가구 1,749명, 2000년에는 302가구 93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24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