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덕산황씨(德山黃氏)
유래
시조 : 황언필(黃彦弼)
시조 황언필(黃彦弼)은 황락의 후손이라고 한다. 황언필은 고려 때 대광삼중대부 도첨의정승으로 덕풍군에 봉해졌다. 그후에 기록이 없어져서 장흥고사를 역임한 후손 황재(黃載를 1세조로 하고 본관을 덕산으로 했다. 인물
황재(黃載)의 아들 황길상(黃吉祥)이 고려 때 문과에 올라 부정을 지냈으며, 손자 황덕경(黃德卿)은 신호위 보승 낭장을 역임하여 호조 참의에 추증된 황욱(黃郁)과 함께 이름을 날렸다. 연산군 때 경주부윤을 지낸 황필은 부위 황귀수(黃龜壽)의 셋째 아들로 일찍이 김종직(金宗直) 문하에서 글을 배워 성종때 별시문과에 급제한 후 교리, 사인, 승지를 거쳐 경주부윤을 역임하였다. 특히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상을 당하자 6년 동안이나 무덤 옆에 여막을 짓고 생활하여 주위 사람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고 하며, 그의 손자 황기로(黃耆老)는 중종 때 진사시에 합격하고 벌좌를 지냈으며 특히 초서를 잘 써서 초성으로 일컬어졌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황치령(黃致靈, 1638 戊寅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황치운(黃致雲, 1640 庚辰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황후인(黃厚仁, 1625 乙丑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황진원(黃振元, 1657 丁酉生) : 무과(武科) 숙종10년(1684) 정시 병과(丙科) 황원룡(黃元龍, 1610 庚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1년(1633) 식년시 이등(二等) 황계옥(黃季沃)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8년(1513) 식년시 이등(二等) 황도홍(黃道弘, 1653 癸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9년(1693) 식년시 삼등(三等) 황순(黃錞, 156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광해군4년(1612) 식년시 삼등(三等) 황기로(黃耆老)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9년(1534) 식년시 삼등(三等) 황와룡(黃臥龍, 1607 丁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년(1624)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1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4명, 생원진사시 6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
덕산(德山)은 충청남도 예산군(禮山郡)에 속한 지명으로 본래 덕풍(德豊)·이산(伊山) 등 두개 현을 합한 명칭이다.. 이산현은 백제 때는 마시산군(馬尸山郡)이라 불리우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이산군(伊山郡)으로 바뀌어 웅주(熊州: 公州)가 관할하였고, 금무현(今武縣)과 목우현(目牛縣)이 이산군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현종 9)에는 홍주(洪州: 충청남도 홍성군)의 관할에 있다가 후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하였다. 덕풍현(德豊縣)은 백제의 금물현(今物縣)을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금무현(今武縣)으로 개칭하였고, 940년(고려 태조 23)에 덕풍현으로 바꾸어 이산현과 함께 홍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5년(명종 2)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05년(태종 5)에는 두개 현을 병합하여 덕산현을 만들었고, 1828년(순조 28)에 덕산군으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에 속속되었고, 1896년에 충청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덕산면으로 축소, 폐지되어 지금은 예산군(禮山郡)에 속한 덕산면(德山面)으로 남아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덕산황씨는
1985년에는 4,085가구 18,453명, 2000년에는 1,097가구 3,36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857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