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장수황씨(長水黃氏)
    유래
     시조 : 황경(黃瓊)
    시조 황경(黃瓊)은 신라 경순왕의 부마로 벼슬은 시중을 지냈다. 그후 10세손 황공유가 고려 명종 때에 전중감으로 이의방의 난이 있은 후에 장수로 낙향 하였고, 15세손 황감평이 후학을 위한 덕망있는 학자 였다는 것 외에는 18세손 황석부(黃石富) 까지는 고증할 자료가 없다. 중시조 황석부는 황희(黃喜)의 증조부로 사후에 호조참의로 추증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황석부를 1세 조상으로 하고 있다.
    인물
    - 황희(黃喜) : 조선시대의 4대 명재상의 한 사람으로 정승의 지위에 24년간, 그 중 영의정에 18년간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과 예법의 개정, 서얼의 천역(賤役) 면제 등 치적을 쌓았으며, 소신이 굳으면서도 원만하고 청렴하여 청백리에 뽑히는 등 숱한 일화를 남겼다.
    - 황치신(致身): 황희의 아들. 중추부판사 등을 역임하고 우의정에 올랐다.
    - 황수신(守身): 황희의 아들.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 황정욱(廷彧): 이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광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시와 서예에도 뛰어났다. 저서로 '지천집(芝川集)'이 있다.
    - 황경원(景源): 대제학을 비롯해 이조, 예조, 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황맹헌(孟獻): 황여헌(汝獻), 황효헌(孝獻) 3형제: 문장과 서예가 뛰어났다.
    - 황윤길(允吉): 선조 때 일본에 다녀와 풍신수길[豊臣秀吉,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침략을 예고했다.
    - 황엽(曄): 숙종 때의 학자로 의학뿐 아니라 지리에 정통하여 '여지도(輿地圖)'를 만들고 '지도연의(地圖衍義)'를 저술했다.
    - 황승원(昇源) : 순조 때의 명신 , 한말의 야사(野史)를 엮었다.
    - 황현(玹) : '매천야록(梅泉野錄)'의 저자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황위(黃暐, 1605 乙巳生) : 문과(文科) 인조16년(1638)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황명한(黃明漢, 1771 辛卯生) : 문과(文科) 순조2년(1802) 정시3 갑과(甲科) 장원급제
     황혁(黃赫, 1551 辛亥生) : 문과(文科) 선조13년(1580)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황붕(黃鵬) : 문과(文科) 선조16년(1583) 정시 병과(丙科)
     황박(黃博) : 문과(文科) 중종27년(1532) 별시 을과(乙科)
     황이장(黃爾章, 1653 癸巳生) : 문과(文科) 숙종38년(1712) 정시 병과(丙科)
     황석(黃奭, 1569 己巳生) : 문과(文科) 광해군3년(1611) 별시 병과(丙科)
     황익청(黃益淸,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인조8년(1630) 식년시 을과(乙科)
     황성창(黃誠昌) : 문과(文科) 성종22년(1491) 별시 을과(乙科)
     황처호(黃處浩, 1707 丁亥生) : 문과(文科) 영조22년(1746) 알성시 병과(丙科)
    등 모두 16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5명, 무과 16명, 생원진사시 98명, 의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 경기도 포천군 청산면 대전리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 충남 보령군 웅천읍 구룡리, 소황리
    - 전북 무주군 부남면 유평리
    - 경북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 전북 완주군 용진면 구억리
    - 경북 경산군 안심읍 동내동
    - 전남 장흥군 대덕면 덕산리
    - 경북 문경군 산북면 대하리
    - 전북 진안군 안천면 백화리
    - 전북 남원시 사매면 수월리
    - 전북 남원시 대산면 대곡리
    항렬자
    17世
    주(周)
    18世
    의(義)
    19世
    연(淵)
    20世
    (示변)
    인(仁)
    21世
    (土변)
    하(夏)
    22世
    (水변)
    규(圭)
    23世
    (人변)
    상(商)
    24世
    (火변)
    영(永)
    25世
    (土변)
    진(震)
    2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8世孫은 1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장수
    장수(長水)는 전라북도에 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우평현(雨平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고택현(高澤縣)으로 개칭하여 벽계군(壁溪郡: 長溪縣)에 속하였다. 고려 초에 장수현으로 이름을 바꾸고, 1018년(현종 9)에 남원부(南原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391년(공양왕 3)에 장계감무(長溪監務)가 이 지역을 함께 다스렸다. 1392년(태조 1)에 장수현을 복구하여 장계현을 병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남원부 장수군(長水郡)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장수군이 되었다. 1979년에 장수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장수황씨는
    1985년에는 29,971가구 126,746명, 2000년에는 45,567가구 146,57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70,98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