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황주황씨(黃州黃氏)
유래
시조 : 황응성(黃應星)
시조 황응성(黃應星)은 황주에 대대로 살아온 선비 집안으로 부사를 역임했으나 선조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후손들이 황주에 대대로 살면서 본관을 황주로 하였다. 인물
황윤후(黃胤後)가 문과에 급제하고 성균관 전적·낭관·현감을 거쳐 부윤에 이르렀으며, 황인기(黃仁紀)가 형조정랑, 상의원 첨정 등을 역임하고 수직으로 첨지중추부사에 올라 직장을 역임한 황득승(黃得承), 황순운(黃順運)과 함께 가문을 중흥시켰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황윤후(黃胤後, 1587 丁亥生) : 문과(文科) 인조3년(1625) 별시 병과(丙科)
황응성(黃應聖, 1556 丙辰生) : 문과(文科) 선조18년(1585) 식년시 병과(丙科) 황민후(黃敏厚, 1691 辛未生) : 문과(文科) 영조4년(1728) 별시 병과(丙科) 황진(黃瑨, 1733 癸丑生) : 문과(文科) 정조14년(1790) 증광시 병과(丙科) 황입(黃岦, 1850 庚戌生) : 문과(文科) 고종23년(1886) 함경도도과 병과(丙科) 황하수(黃河水, 1552 壬子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을과(乙科) 황철(黃, 1769 己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13년(1813) 증광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황대영(黃大永, 1870 庚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증광시 삼등(三等) 황진(黃○, 1733 癸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8년(1762) 식년시 삼등(三等) 황명래(黃命來, 1767 丁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6년(1792)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2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2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황주
황주(黃州)는 황해도 중앙 북단에 위치하는 황주군 일대의 지명이다. 고구려 때는 동홀(冬忽) 또는 동어홀(冬於忽)이라 불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취성군(取城郡)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건국 전 태봉 무렵에 황주(黃州)로 바꾸었고 983년(성종 2) 황주목이 되었고, 993년(성종 12)에는 절도사(節度使)를 두었으며 천덕군(天德郡)이라 부르며 관내도(關內道) 관할로 두었다. 1012년(현종 3) 안무사(安撫使)를 두었다가 다시 목으로 개편하여 서해도(西海道)에 예속하였고 1217년(고종 4)에 지고령군(知固寧郡)으로 강등되었다. 1269년(원종 10) 원(元)나라의 동녕부(東寧府)에 속하였고, 1290년(충렬왕 6) 서북면으로 관을 옮겼으며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황주목(黃州牧)으로 환원되면서 서해도에 이관되었다. 조선 세조 때에 진(鎭)을 두어 2도호부, 6군, 5현 등을 관할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평양부 황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 황해도 황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37년 황주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황주황씨는
1985년에는 502가구 2,291명, 2000년에는 260가구 86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52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