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영천황보씨(永川皇甫氏)
    유래
     시조 : 황보능장(皇甫能長)
    시조 황보능장(皇甫能長)은 고려태조 왕건의 창업공신 가운데 한사람인 금강성(金剛城) 장군이다.
    황보능장은 신라에 쳐들어간 후백제의 군사를 달구벌(현 대구)에서 격파하는 등 공을 세워 영천 부원군으로 봉해지고 영천군 일대를 식읍으로 받았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영천으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후손의 기록이 없어져서 고려말 목사를 지낸 황보안(皇甫安)을 1세조로 하고 있다.

    - 황보능장의 묘소는 경북 영천군 고경면 창암리에 있으며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인물
    고려 명종 때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명성을 떨친 황보항(皇甫抗)과 대사성을 지낸 황보탁(皇甫倬)이 유명했으며, 정종 때 참지정사·평장사를 지낸 황보영(皇甫穎)과 고종 때 좌복야·문하시랑평장사에 이른 황보기(皇甫琦) 등이 뛰어난 인물이다. 한편 황보유의(皇甫兪義)는 고려 현종이 즉위하는데 공헌했으며 1031년(현종 22) 중추사를 거쳐 이부 상서와 참지정사를 지냈고 덕종 때는 문하평장사에 올랐다. 공민왕 때 홍건적의 난을 토평하고 일등공신에 오른 황보임은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부원수로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가담하여 일등공신에 오르고 삼도 도체찰사가 되었으며 조선이 개국된 후 지중추원사에 올랐다.
    황보임의 아들 황보인(皇甫仁)은 태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세종 때 장령과 병조 판서를 거쳐 평안·함길도 체찰사가 되어 10년 동안 김종서 장군과 함께 육진을 개척하였다. 그는 태종 세종 문종 3대에 걸쳐 도승지를 비롯하여 관찰사·좌찬성·우좌의정 등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하여 조정의 중신이 되었으며, 1452년(문종 2) 영의정이 되어 어린 단종을 보필하다고 계유정난 때 김종서(金宗瑞), 정분 등과 함께 수양대군에게 살해당했다. 이때 그의 두 아들 참판을 지낸 황보석(皇甫錫)·직장(直長)을 지낸 황보흠(皇甫欽)과 소자 황보원(皇甫源), 황보문(皇甫汶) 등 다섯 사람이 화를 당하니 영천 황보씨에게 큰 타격이 되었다. 그 후로 나머지 일족들은 뿔뿔히 흩어지거나 붙잡혀 섬이나 먼 변방의 관리나 천민이 되기도 하였으며, 성을 바꾸며 숨어 살기도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황보량(皇甫良) : 문과(文科) 세종8년(1426)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황보규(皇甫規) : 문과(文科) 정종1년(1399)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황보인(皇甫仁) : 문과(文科) 태종14년(1414) 친시 을과(乙科)
     황보공(皇甫恭) : 문과(文科) 세종5년(1423)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황보숙(皇甫淑, 1549 己酉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황보철(皇甫哲, 1562 壬戌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황보신(皇甫信, 183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7년(1870) 식년시 삼등(三等)
     황보탄(皇甫坦, 1698 戊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년(1727)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1世
    진(鎭)
    종(鍾)
    22世
    수(洙)
    락(洛)
    23世
    동(東)
    주(柱)
    24世
    환(煥)
    병(炳)
    25世
    규(圭)
    배(培)
    26世
    용(鎔)
    현(鉉)
    27世
    태(泰)
    영(永)
    28世
    근(根)
    모(模)
    29世
    희(熙)
    섭(燮)
    30世
    기(基)
    균(均)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2世孫은 2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
    영천(永川)은 경상북도 영천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고대 골벌국(骨伐國)이었던 것을 초기 신라 때에는 절야화군(切也火郡)이라 하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였다. 925년(경애왕 2)에 고울부(高鬱府)로 고쳐 불렀고, 도동현(道同縣)·임천현(臨川縣)·맹백현·이지현(梨旨縣) 등의 현들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도동·임천현을 합하여 영주군(永州郡)이라고 불렀으며, 995년(성종 14)에 자사(刺史)를 파견하였다. 1018년(현종 9)에 경주(慶州)에 편입되었다가, 1172(명종 2)에는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고, 후에 주(州)로 승격되었다. 1414년(태종 14) 영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영천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북도 영천군이 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신녕군(新寧郡)이 영천군으로 폐합되어 영천면을 신설하였다. 1937년 영천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1년에는 영천읍이 시로 분리 승격했고, 1995년 영천군을 영천시에 통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천황보씨는
    1985년에는 2,075가구 8,388명, 2000년에는 2,806가구 8,87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00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