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경산김씨(京山金氏)
    유래
     시조 : 김맹(金孟)
    시조 김맹(金孟)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12세손(혹은 16세손)으로 고려시대에 대장군을 지냈다고 전해온다.
    그러나 전하는 문헌이 없어 자세한 내력은 알 수 없고, 성주김씨도 김맹을 시조로 하고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
    경산(京山)은 경상북도 성주군(星州郡)에 있던 옛 지명으로 6가야 중 벽진가야(碧珍加耶)로 가야연맹의 중심국 중의 하나였다. 신라가 가야 지역에 진출함에 따라 신라의 세력권에 들게 되어 벽진군(碧珍郡) 또는 본피현(本彼縣)이 설치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안현(新安縣)으로 개칭, 성산군(星山郡: 加利縣)의 영현이 되었고, 후에 벽진군(碧珍郡)으로 개편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경산부(京山府)로 승격되었다가 981년(경종 6) 광평군(廣平郡)으로 강등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대주(岱州)로 개칭하여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1012년(현종 3) 단련사를 폐지한 후 1018년(현종 9)에 다시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1295년(충렬왕 21)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로 개편 되었다가 곧 성주목으로 승격했으나 이 역시 1310년(충선왕 2)에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조선 태종 때 성주목으로 다시 승격되었고, 그 후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성주군으로 군수를 두었고, 1896년에는 경상북도 성주군이 되었다. 1979년에는 성주면을 읍으로 승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