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강우문(姜遇文)
시조 강우문(姜遇文)은 소윤(少尹)을 지냈으며 전하는 문헌이 없어 유래 등은 알수가 없다.
인물
강우문(姜遇文)은 생원(生員)으로 1438년(세종 20) 문과에 급제하고 함흥소윤(咸興少尹)을 지냈다.(시조와 동일 인물인지는 알수 없음)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강우문(姜遇文) : 문과(文科) 세종20년(1438) 식년시 정과(丁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
동복(同福)은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위치한 지명이다. 백제 때에는 두부지현(豆夫只縣)으로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동복현(同福縣)으로 바뀌어 곡성군(谷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보성군(寶城郡)에 편입되었다가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395년(태조 3)에 화순(和順)에 편입되었고, 1405년(태종 5)에 화순군에 병합되어 복순(福順)으로 개칭하였다가 1416년(태종 16)에는 현으로 복구하였다. 1655년(효종 6)에 화순군에 합속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동복군이 되었고, 1896년에 전라남도 동복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동복군이 폐지되고 화순군에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