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성산이씨(星山李氏)
유래
시조 : 이능일(李能一)
시조 이능일(李能一)은 고려개국공신으로 신라말에 성산(현 성주군) 일대를 지배해온 호족(戶族)이었다. 왕건(王建)이 고려(高麗)를 세우자 그는 최언 등 6백명의 민병(民兵)을 거느리고 925년(태조 8) 후백제 견훤군(甄萱軍)을 대파하는 등 12년동안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그의 원래의 이름은 이능(李能) 또는 이능필(李能弼)이었는데 고려태조가 삼국통일에 크게 기여했다는 뜻으로 통일(統一)을 상징하는 일(一)자를 내려 이능일(李能一)로 부르게 했다고 한다. 고려건국후 태조 왕건의 딸인 정순공주(貞順公主)와 결혼(結婚)시켜 부마(駙馬)로 삼고 사공(司空, 정1품)의 벼슬을 내리고 성산백에 봉해지자 후손들이 성산을 본관으로 삼았다. 성산은 조선시대에 지명이 성주로 바뀌어 성주를 본관으로하는 성주이씨나 성산이씨(광평이씨)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나 그 뿌리 부터가 다르다. - 참고 : 인구수와 과거급제자는 성산(광평)이씨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인물
고려 초기 이견수(李堅守)는 이광(李匡)과 이직(李直)등 4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5부자가 모두 과거에 올라 가문을 빛냈다. 이후 정당문학과 종2품에 오른 이우당(李宇唐), 지인주사(知仁州事)를 지낸 이여충(李汝忠), 금산 군사(郡事)를 지낸 이여신(李汝信), 안염부사(按廉副使)를 지낸 이여양(李汝良)등이 고려시대의 인물이다.
조선초기에는 중종때 대사간과 이조참의를 지낸 이세인(李世仁)은 연산군때 직언으로 이름난 명신이었다. 그는 사간으로 있을 당시 간신배를 탄핵하다 나주로 유배되는등 전후 두차례에 걸쳐 귀향길에 오르는 시련도 겪었다. 그밖에 병조, 예조, 이조판서,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이항 부자등이 있다. 조선 인조 때의 이사룡(李士龍)은 명과 청이 중국대륙의 지배권을 놓고 각축을 벌이던 1640년, 그는 청의 강요로 조선이 명을 치는데 합세했을 때 출전했으나 명나라에 대한 옛 의리를 지키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린 올곧은 선비로 당시 그는 포사(砲士)였으나 그는 "임진왜란때 조선을 도운 명나라 군사를 어찌 공격하겠느냐"며 끝까지 포쏘기를 거절하다 처형당했다. 그가 숨지자 청나라 태종도 그의 기개에 감복하여 그의 유해를 조선으로 돌려보내도록 지시했다고 한다. 조선 영조 때 사도세자의 호위무관인 이석문(李碩文)은 고향에 낙향해 자기집 북쪽에 문을 내고 세자가 묻힌 북녁을 향해 매일같이 재배했던 절신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홍원(李弘源, 1757 丁丑生) : 문과(文科) 정조22년(1798) 식년시 병과(丙科)
이공장(李公檣) : 문과(文科) 중종10년(1515) 별시 병과(丙科) 이충건(李忠楗) : 문과(文科) 중종10년(1515) 별시 병과(丙科) 이춘복(李春復, 1719 己亥生) : 문과(文科) 영조29년(1753) 식년시 병과(丙科) 이기선(李箕善, 1805 乙丑生) : 문과(文科) 철종13년(1862) 정시 병과(丙科) 이부의(李復義,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이복남(李福男,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희변(李希邊, 1591 辛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정건(李廷建,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연외(李連外, 1575 乙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5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무과 15명, 생원진사시 36명, 음양과 2명) 세거지
- 성주군 월항면 대산동 한개(大浦)마을.
입향조는 조선초 진주목사를 지냈던 이우(李友). 그가 조상대대로 살아온 성주읍내에서 한개마을로 이주한 내력은 확실치않다. 다만 조선초 영남지방 교통의 요충지였던 성주목(星州牧)에 역사가 들어서고 말과 역을 관리하는 중인들이 득실거리자 "성주는 체통있는 양반이 살곳은 못된다" 고 해서 문중의 묘를 한개마을로 옮겼다는 얘기가 전해내려올뿐이다. 아직도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를 모신 가묘를 보존하며 5백년 유가(儒家)의 가풍을 잇는다. - 충북 옥천군 동이면 평산리 - 경기도 용인, 강화 - 강원도 철원, 금화군 - 충북 영동군, 괴산군 - 전북 남원군, 정읍군 - 전남 보성군 - 경북 성주군, 금릉군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
성산(星山)은 경상북도 남서쪽에 위치한 성주(星州)의 옛 지명이다. 6가야연합국의 하나인 성산가야국(星山伽倻國)의 영토였다. 6세기 무렵 신라의 세력권에 들게 되어 벽진군(碧珍郡) 또는 본피현(本彼縣)이라 하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안현(新安縣)으로 개칭하여 성산군(星山郡)에 속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경산부(京山府)로 승격하였다가 980년(경종 6)에 광평군(廣平郡)으로 강등하여 개칭되었다. 995년(성종 14) 대주(岱州)로 바뀌어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다시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1295년(충렬왕 21)에 와서는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를 두어 성주목(星州牧)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경산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성주목으로 승격되었다가 이후 1616년(광해군 9)에는 신안군으로, 1631년(인조 1)에는 신안현으로 개칭되어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성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는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관할면이 성주·벽진면 등 9개면으로 폐합되었고, 1979년에 성주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성산이씨는
1985년에는 16,094가구 64,735명, 2000년에는 23,729가구 75,21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3,087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간성공파(杆城公派)
- 경무공파(景武公派) - 고은공파(孤隱公派) - 광평군파(廣平君派) - 도은공파(陶隱公派) - 도정공파(都正公派) - 동지공파(同知公派) - 문경공파(文景公派) - 문과공파(文科公派) - 문열공파(文烈公派) - 밀직공파(密直公派) - 봉예공파(奉禮公派) - 시중공파(侍中公派) - 유수공파(留守公派) - 장절공파(章節公派) - 참지공파(參知公派) - 참판공파(參判公派) - 첨추공파(僉樞公派) - 초은공파(樵隱公派) - 총제공파(摠制公派) - 판서공파(判書公派) - 판윤공파(判尹公派) - 평간공파(平簡公派) - 인주공파(仁州公派) : 14세손 이여충(李汝忠) - 금산공파(金山公派) : 14세손 이여신(李汝信) - 정언공파(正言公派) : 14세손 이여양(李汝良) - 봉익공파(奉翊公派) : 14세손 이희(李禧) - 기국공파(杞菊公派) : 14세손 이직손(李直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