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회산감씨(檜山甘氏)
    유래
     시조 : 감규(甘揆)
    시조 감규(甘揆)의 자는 양원(養元), 호는 연강(延岡)이다.
    시조 감규는 원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1349년(충정왕 1년) 공민왕(恭愍王)과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 원나라 황족 위왕의 딸, 공민왕비)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으며, 후에 연릉군(延陵君)에 봉해졌다.

    15세손 감수화(甘受和) 때 까지 본관을 연릉(延陵)으로 삼아오다가, 16세손 감철(甘喆)이 북벌을 간(諫)하여 중지하게 한 공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오르고 회산군(檜山君)에 봉해진 것을 계기로 본관을 회산으로 하고있다.

    묘소는 충청도 공모산에 있었고 어제(御題)한 신도비가 무덕곡에 있었다고 하나 없어져 후손들이 세거지인 창원시 내리동에 제단과 신도비를 설치하고 매년 음력 4월15일 향사 한다.
    인물
    감규의 손자인 평장사(平章事) 감흥협(甘興鋏)을 비롯하여 밀직제학(密直提學) 감소연(甘紹延), 중추부사(中樞府使) 감진요(甘震曜), 이부시랑(吏部侍郞) 감침(甘鍼) 등이 있다.
    주요 인물
    세거지
    - 경남 마산시 내동
    - 경남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
    - 경남 의창군 동면 남산리.북면 무곡리
    - 경남 밀양군 상남면 평촌리
    - 경남 김해군 진영읍 좌곤리
    - 경남 진해시 이동
    - 경남 남해군 남해면 남면동
    항렬자
    35世
    현(鉉)
    태(泰)
    36世
    영(泳)
    식(植)
    주(柱)
    37世
    상(相)
    경(炅)
    병(炳)
    38世
    병(炳)
    규(圭)
    은(垠)
    39世
    동(東)○
    40世
    ○희(熙)
    41世
    채(埰)○
    42世
    ○석(錫)
    43世
    호(浩)○
    44世
    ○근(根)
    45世
    형(炯)○
    46世
    -
    47世
    -
    48世
    -
    49世
    -
    50世
    -
    51世
    -
    52世
    -
    53世
    -
    5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6世孫은 3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
    회산(檜山)은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昌原市) 일원의 다른 이름이다. 신라 때에는 삽량주(歃良州) 굴자군(屈自郡)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굴자군을 의안군(義安郡)으로 이름을 바꾸고, 합포현(合浦縣: 馬山)·웅신현(熊神縣: 熊川)·칠제현(漆隄縣: 漆原)을 관할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금주(金州: 金海)로 병합되었다가 뒤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 1274년(원종 15)과 1281년(충렬왕 7)에 원나라와 고려 연합군의 일본 정벌 때 창원지방은 합포를 중심으로 연합군의 기지가 되었으며, 1282년에 의안군이 의창현(義昌縣)으로, 합포현이 회원현(會原縣)으로 개칭되었다.
    1408년(태종 8)에 회원현을 병합하여 창원부(昌原府)로 승격하고 경상우도병마절도사영이 설치되었으며, 1413년에는 창원도호부가 되었다. 1601년(선조 34)에 창원대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603년에 경상우도병마절도사영이 진주로 옮겨갔으며 현종 무렵에는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창원의 별호는 회산(檜山)·환주(還珠)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창원군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남도 창원군이 되었다. 1906년에 창원군을 부로 승격하고, 칠원군의 구산면과 김해군의 대산면이 편입되었다. 1908년에 진해군과 웅천군을 창원부에 합병였으나 1910년 마산부가 신설되면서 많은 지역이 마산부로 분리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창원군에 다시 환원되었다. 1980년에 창원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창원군의 동면·북면·대산면이 창원시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회산감씨는
    1985년에는 769가구 3,172명, 2000년에는 679가구 2,11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277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감씨는 주나라 무왕의 셋째 아들 숙대(叔帶)가 감후(甘侯)에 봉해지고 그곳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은 사실에서 연유하여 그 땅 이름을 감씨(甘氏)의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본관은 회산, 합포(合浦), 충주(忠州), 거창(居昌), 창녕(昌寧), 부령(富寧) 등 6개 이다. 그러나 6개 모두 회산 감씨에서 분리된 동원분파(同源分派)들로서 각 본관명은 세거지명(世居地名)에 불과하다는 것이 통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