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보령김씨(保寧金氏)
    유래
     시조 : 김억적(金億籍)
    시조 김억적(金億籍)은 병조정랑을 역임했으며 보령에서 대대로 살아온 사족으로 후손들이 본관을 보령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진지(金震知) : 문과(文科) 세종20년(1438) 식년시 병과(丙科)
     김태영(金泰英, 1640 庚辰生) : 무과(武科) 숙종15년(1689) 증광시 을과(乙科)
     김신(金伸)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김위삼(金緯三, 162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1년(1660) 증광시 삼등(三等)
     김동규(金東奎, 1814 甲戌生) : 역과(譯科) 헌종6년(1840) 식년시 ()
     김응진(金應晉, 1798 戊午生) : 역과(譯科) 순조16년(1816) 식년시 ()
     김경흥(金景興, 1680 庚申生) : 역과(譯科) 숙종25년(1699) 증광시 ()
     김덕규(金德奎, 1833 癸巳生) : 역과(譯科) 철종3년(1852) 식년시 ()
     김종환(金鍾煥, 1868 戊辰生) : 역과(譯科) 고종22년(1885) 식년시 ()
     김효순(金孝舜, 1569 己巳生) : 역과(譯科) 선조33년(1600) 식년시 ()
    등 모두 2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명, 역과 11명, 의과 3명, 음양과 1명, 율과 6명, 주학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
    보령(保寧)은 충청남도 중서부에 위치한 보령시(保寧市) 일원의 옛 지명이다. 백제시대에는 신촌(新村) 또는 사촌(沙村)이라 부르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읍현(新邑縣)으로 개칭하여 결성군(潔城郡: 洪城)의 관할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보령현(保寧縣)으로 개편하였고, 1018년(현종 9)에는 운주(運州: 洪城)에 예속시켰으나 1106년(예종 1)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 조선시대에 군현제 개편으로 1413년(태종 13)에 현감이 설치되었으며, 선조 때에는 첨사진(僉使鎭)을 두기도 하였다. 그 후에 수사영(水使營)이 이곳을 관할하다가 1652년(효종 3) 부(府)로 승격하였으며, 1662년(현종 3)에 잠시 도호부로 승격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보령군, 1896년에는 충청남도 보령군이 되었다. 1963년에 대천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1986년 대천읍이 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다. 1995년 보령군과 통합하여 보령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보령김씨는
    1985년에는 579가구 2,474명, 2000년에는 355가구 1,15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7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