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부안김씨(扶安金氏, 부령)
    유래
     시조 : 김일(金鎰)
    시조 김일(金鎰)은 신라 경순왕의 첫째 아들이며 마의태자로 잘알려졌다. 김일은 신라의 국운이 쇠퇴하자 처자식을 데리고 개골산(금강산)에 들어 갔다가 5세손 김경수(金景修)가 세상에 나와 고려 선종때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상서를 지냈으며 김경수의 아들 김춘이 부안부원군에 봉해지자 본관을 부안으로 하고 김경수를 1세 조상으로 하였다. 중시조는 김구(金坵, 1211~1278, 자는 차산, 호는 지포, 시호는 문정)이며 평장사를 지냈다.
    부안김씨을 부령김씨라고도 하는데 조선 태종때 부령현과 보안현을 통합해 지금의 부안이 되었으므로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 묘소는 전북 부안군 산내면 운산리에 있으며 음력 10월 1일에 향사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현(金○, 1593 癸巳生) : 문과(文科) 인조5년(1627)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익복(金益福, 1551 辛亥生) : 문과(文科) 선조13년(1580) 별시 병과(丙科)
     김직손(金直孫, 1437 丁巳生) : 문과(文科) 예종1년(1469) 추장시 병과(丙科)
     김치원(金致遠, 1572 壬申生) : 문과(文科) 선조36년(1603) 식년시 병과(丙科)
     김계(金啓, 1528 戊子生) : 문과(文科) 명종7년(1552) 식년시 병과(丙科)
     김성연(金聖淵, 1650 庚寅生) : 문과(文科) 숙종31년(1705) 증광시 병과(丙科)
     김헌제(金櫶濟, 1812 壬申生) : 문과(文科) 고종19년(1882) 증광시 병과(丙科)
     김동직(金東稷, 1722 壬寅生) : 문과(文科) 영조41년(1765) 식년시 병과(丙科)
     김팽령(金彭齡)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식년시 병과(丙科)
     김한익(金漢益, 1787 丁未生) : 문과(文科) 순조27년(1827)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8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3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55명, 역과 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7世
    락(洛)
    28世
    술(述)
    29世
    형(炯)
    30世
    철(喆)
    31世
    종(鍾)
    32世
    원(源)
    33世
    병(秉)
    34世
    성(性)
    35世
    재(在)
    36世
    수(銖)
    37世
    순(淳)
    38世
    근(根)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8世孫은 2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부안
    부안(扶安)은 전라북도 부안군 일원의 옛 지명이다. 마한의 지반국(支半國)이 있던 지역으로 백제 때에는 개화현(皆火縣) 또는 계발현(戒發縣)이라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부령현(扶寧縣)으로 이름을 바꾸어 고부군(古阜郡: 정읍시 고부면 일대)의 영현을 삼았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고, 보안현(保安縣) 감무도 겸하게 하였다. 이후 조선 초까지 부령현과 여러 차례 합병과 분리를 반복해 오다가 1416년(태종 16)에 보안(保安)과 부령현(扶寧縣)을 부안현(扶安縣)으로 병합하였다. 1417년에 흥덕진을 옮겨 병마사 겸 판현사를 두었으며, 1423년(세종 5)에 첨절제사로 고쳤다가 현감을 파견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부안군, 1896년에 전라북도 부안군이 되었다. 1943년에 부령면이 부안읍으로 개칭,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부안김씨는
    1985년에는 11,263가구 47,696명, 2000년에는 17,391가구 56,31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8,96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