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수안김씨(遂安金氏)
유래
시조 : 김훤(金愃)
수안김씨는 경주김씨(慶州金氏)에서 직계 분적된 안동김씨(安東金氏)에서 분파한 본관이다. 시조 김훤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8세손인 김방경(구 안동김씨의 1세조)의 장남이다. 김훤은 고려때에 보정공신으로 벼슬이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전법판서(典法判書), 상장군(上將軍)에 이르고 수안군에 봉해져서 후손들이 본관을 수안으로 하였다. 김훤의 아들 김자(金資)는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냈고, 손자 김위(金爲)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전법판서(典法判書)에 올랐으며 후손들이 김위를 중시조로 하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인도(金仁燾, 1795 乙卯生) : 문과(文科) 순조16년(1816) 별시 병과(丙科)
김하구(金夏九, 1676 丙辰生) : 문과(文科) 숙종45년(1719) 증광시 병과(丙科) 김정구(金鼎九, 1680 庚申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증광시 병과(丙科) 김의종(金義宗,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김용(金龍, 1599 己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응건(金應建, 1611 辛亥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김하구(金夏九, 167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28년(1702) 식년시 김정구(金鼎九, 168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9년(1713) 증광시 삼등(三等) 김정구(金鼎九, 168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9년(1713) 증광시 삼등(三等) 김한광(金漢光)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17년(1522)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7명) 세거지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상직리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면 제내리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수안
수안(遂安)은 황해북도에 있는 지명이다. 고구려에는 고소어(古所於)·장새(獐塞)였으며, 748년(신라 경덕왕 7) 장새현으로 개칭하여 서암군(栖巖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1018년(현종 9)에는 수안현(遂安縣)이 되어 곡주(谷州)에 속하였으며, 후에 다시 현령(縣令)을 두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는 수주(遂州)로 승격되었다. 1417년(태종 17) 수안군(遂安郡)이 되었다가, 1653년(효종 4) 잠시 현으로 강등되었었다.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때 연암면·공포면·도소면·수구면과 대오면의 일부지역을 연산군에, 율계면을 연탄군에 이관시키고 신계군 사진면의 신리·석교리·산북리·사이곡리를 통합하여 군경계를 조정하였다. 1954년 곡산군 서초리가 평원리에 흡수되었고 용포리의 일부를 좌위리로, 옥치리의 일부를 도전리로, 도전리·산북리의 일부를 용현리에 흡수하였다. 1963년 산북리·석교리의 일부를 분리하여 주경리를 신설했고 1974년 조양리를 옥치리에 통합시키고 조양리는 폐지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수안김씨는
1985년에는 1,142가구 4,567명, 2000년에는 1,388가구 4,45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540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파명을 살펴보면
통덕랑공훈파(通德郞公壎派), 도제조공순몽파(都提調公順蒙派), 도제조공사세손대수파(都提調公四世孫大修派), 판관공욱파(判官公旭派), 울산공제일파(蔚山公第一派), 울산공제이파(蔚山公第二派), 울산공제삼파(蔚山公第三派), 울산공제사파(蔚山公第四派), 부장공면제일파(部將公沔第一派), 부장공면제이파(部將公沔第二派), 부장공면제삼파(部將公沔第三派), 부장공면제사파(部將公沔第四派), 광평공한문파(廣平公漢文派)로 나뉘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