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안악김씨(安岳金氏)
    유래
     시조 : 김영(金塋)
    시조 김영(金塋)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후손이다. 김영은 조선 단종때 봉사직장으로 있으면서 단종이 계유사화로 영월에 유배될 때 따라갔으며 권신들의 참소로 강화에 유배되었다. 그후 성종때 복권되어 안악군에 봉해지고 후손들이 본관을 안악으로 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태준(金泰俊, 1656 丙申生) : 무과(武科) 숙종12년(1686) 별시 병과(丙科)
     김중실(金重實)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김여일(金麗鎰, 185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김인오(金○五, 177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9년(1809) 증광시 이등(二等)
     김종륜(金宗倫, 1738 戊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7년(1771) 식년시 이등(二等)
     김익렴(金益濂, 1771 辛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22년(1798)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2명, 생원진사시 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62世
    (金)변
    63世
    (水)변
    64世
    (木)변
    65世
    (火)변
    66世
    (土)변
    67世
    (金)변
    68世
    (水)변
    69世
    (木)변
    70世
    (火)변
    71世
    (土)변
    72世
    (金)변
    73世
    (水)변
    74世
    (木)변
    75世
    (火)변
    76世
    (土)변
    77世
    (金)변
    78世
    (水)변
    79世
    (木)변
    80世
    (火)변
    81世
    (土)변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63世孫은 62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안악
    안악(安岳)은 황해도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고구려 때에는 양악군(楊岳郡)이라 했고 신라 때에는 장구진(長口鎭)에 속하였다. 고려 초에 안악으로 개칭되어 1018년(현종 9) 풍주(豊州)에 편입되었다가 1106년(예종 1) 감무를 두었다. 1348년(충목왕 4)에 군으로 승격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589년(선조 22)에 잠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608년(선조 41)에 다시 군이 되었다. 8·15해방 당시에는 안악읍·대원면·용순면·은흥면·대행면·서하면·안곡면·용문면·문산면 등 1개읍 8개면 113개리였다. 북한은 1952년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안악군의 일부를 은천군으로 분리시켰고, 신천군의 일부를 넘겨받아 안악군의 영역을 조정하였다. 1954년에 재령군의 신환포리 일부가 덕성리로 편입되었고, 남정리 일부를 평정리로, 구와리 일부를 복사리로, 대추리 일부를 굴산리로, 노암리 일부를 한월리로 각각 편입시켰다. 1974년 에는 유설리 일부를 덕성리와 노암리에 편입시키고 나머지 유설리는 오국리와 통합시킨 후 유설리는 폐지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는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안악군이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안악김씨는
    1985년에는 288가구 1,654명, 2000년에는 404가구 1,31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26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