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김순양(金純良)
시조 김순양(金純良)은 신라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으로 전해오나 문헌이 없으므로 세계를 알 수 없다. 다만 그가 문과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후손들이 여주(驪州)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태자소보(太子少保)를 지낸 영주김씨(榮州金氏) 시조 김정자(金挺磁)를 시조로, 또는 고려조에 검교 태자첨사(檢校 太子詹事)를 역임한 황리김씨(黃利金氏) 시조 김준(金濬)을 시조로 삼는 문헌도 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효례(金孝禮, 1638 戊寅生) : 무과(武科) 숙종3년(1677) 알성시 병과(丙科)
김응선(金應先,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경준(金景俊, 1616 丙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기성(金起成,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정립(金廷立,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김경립(金景立,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진성(金振聲)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김연(金璉, 1746 丙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6년(1792) 식년시 삼등(三等)
김연(金淵)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4년(1549) 식년시 삼등(三等)
김원후(金遠厚, 1705 乙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9년(1753)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1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7명, 생원진사시 3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여주
여주(驪州)는 경기도 여주시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골내근현(骨乃斤縣)과 술천성(述川城)이 있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효현(黃驍縣)으로 바뀌었고 기천군(沂川郡: 川寧縣, 述川城)의 관할에 들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황려현(黃驪縣: 黃利縣)으로 바뀌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원주에 영속되었다. 1257년(고종 44)에 영의현(永義縣)으로 개편되었고, 1305년(충렬왕 31)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388년(우왕 14)에 황려부(黃驪府)로 다시 승격하였다가 1389년(공양왕 1) 여흥군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음죽현(陰竹縣)의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면서 관할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69년(예종 1)에 세종대왕 능인 영릉(英陵)을 왕대리(旺垈里)로 옮기면서 천령현(川寧縣)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501년(연산군 7)에 여주목을 폐하고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두었다. 1895년(고종 32)에 충주부 여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여성(驪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관할 15개 면을 9개로 통합하였고, 1941년에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여주김씨는
1985년에는 86가구 398명, 2000년에는 345가구 1,13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2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