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연안김씨(延安金氏)
    유래
     시조 : 김섬한(金暹漢)
    시조 김섬한(金暹漢)은 김알지의 후손으로 고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국자감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냈다. 그의 선조중에 이름을 알 수없는 두 형제가 왕에게 직간을 하다 형은 북빈경(北濱京 : 현 강릉)으로, 동생은 시염성(豉鹽城 : 현 연안)으로 각각 유배 되었는데 연안으로 간 동생의 후손이 김섬한이라고 한다. 그래서 선조의 유배지인 연안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 묘소는 없어지고 경남 통영군 도산면 원산리에 단을 세우고 10월 13일에 향사 한다.
    인물
    - 김도(濤) : 6세손. 고려 때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다.
    - 김자지(自知), 김여지(汝知), 김하(何) : 김도의 아들. 조선시대에 판서를 지냈다.
    - 김전(詮), 김근사(謹思) : 조선시대에 영의정을 지냈다.
    - 김감(勘) : 대제학을 지냈다.
    - 김안로(安老) : 영의정을 지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상옥(金相玉, 1683 癸亥生) : 문과(文科) 숙종35년(1709)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전(金詮, 1458 戊寅生) : 문과(文科) 성종20년(1489)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흔(金訢, 1448 戊辰生) : 문과(文科) 성종2년(1471)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민수(金民秀, 1828 戊子生) : 문과(文科) 철종11년(1860)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의수(金懿秀, 1839 己亥生) : 문과(文科) 고종25년(1888)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안로(金安老, 1481 辛丑生) : 문과(文科) 연산군12년(150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운장(金雲長, 1610 庚戌生) : 문과(文科) 인조17년(1639)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필(金○, 1782 壬寅生) : 문과(文科) 순조29년(1829)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의엽(金義燁, 1607 丁未生) : 문과(文科) 현종10년(1669) 별시 을과(乙科)
     김위(金瑋, 1592 壬辰生) : 문과(文科) 인조6년(1628) 별시2 병과(丙科)
    등 모두 44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63명, 무과 16명, 생원진사시 26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2世
    안(安)
    13世
    남(男)
    14世
    玉변
    15世
    석(錫)
    16世
    水변
    17世
    상(相)○
    18世
    火변
    19世
    재(載)○
    20世
    金변
    21世
    ○연(淵)
    22世
    ○수(秀)
    23世
    사(思)○
    24世
    ○기(基)
    ○섭(燮)
    25世
    종(鍾)○
    ○환(煥)
    26世
    ○영(泳)
    지(持)○
    27世
    ○주(柱)
    ○전(銓)
    28世
    ○성(性)
    ○제(濟)
    29世
    ○중(重)
    ○식(植)
    30世
    ○현(鉉)
    ○희(熙)
    31世
    ○원(源)
    ○재(在)
    32世
    ○식(植)
    ○건(鍵)
    33世
    ○헌(憲)
    ○순(淳)
    34世
    ○규(圭)
    동(東)○
    35世
    ○진(鎭)
    36世
    ○택(澤)
    37世
    ○근(根)
    38世
    ○희(熙)
    39世
    ○배(培)
    40世
    ○균(鈞)
    ○호(鎬)
    41世
    ○철(澈)
    42世
    ○표(杓)
    43世
    ○항(恒)
    ○용(容)
    44世
    -
    45世
    -
    46世
    -
    47世
    -
    48世
    -
    49世
    -
    50世
    -
    51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3世孫은 12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연백
    연안(延安)은 황해도 연백군(延白郡) 일원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 동음홀(冬音忽) 또는 고염성(鼓鹽城)이라 부르다가 신라시대에 해고군(海皐郡)으로 바꾸었다. 고려에서는 염주(鹽州)·영응현(永膺縣)·복주(復州)·석주(碩州)·온주(溫州) 등으로 고쳐 불렀고, 1310년(충선왕 2)에 연안(延安)으로 고쳤다. 1413년(태종 13)에 연안도호부가 되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연안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연안군은 다시 배천군(白川郡)과 합하여 연백군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연안김씨는
    1985년에는 16,689가구 68,939명, 2000년에는 25,215가구 79,78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3,38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