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영산김씨(永山金氏, 영동)
유래
시조 : 김영이(金令貽)
시조 김영이(金令胎)는 신라 제31대 신무왕(神武王)의 넷째 아들 김익광(金益光)의 후손이다. 그는 고려 때 전객서령(典客署令)을 지내고 죽은 후에 공신으로 검교도첨의찬성사에 추증되고 영산군에 추봉되었다. 그의 아들 김길원(金吉元)은 공민왕 때 판도판서에 이르렀으며 홍건적을 토평한공으로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영산(현 영동)으로 하였다. - 시조의 묘소는 충북 영동군 남기산에 있다. 인물
조선초기에 명성을 날린 영산김씨는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 김길원(金吉元)의 맏아들 김종경(金宗敬)이 고려 정종(定宗)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우찬성(右贊成) 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거쳐 도총관(都摠管 : 오위도총부에서 군무를 총괄하던 정2품 최고군직)을 지냈으며, 김종경(金宗敬)의 손자 김수온(金守溫)은 세종(世宗)과 세조(世祖)때의 명신(名臣)으로 많은 일화를 남겼다.
1441년(세종23) 문과(文科)에 오른 김수온(金守溫)은 중시(重試)를 거쳐 발영시(拔英試)와 등준시(登俊試)에 모두 장원하고,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의 특명으로 집현전(集賢殿)에서'치평요람(治平要覽'과 '의방유취(醫方類聚)'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부사직(副司直)에 올라 '석가보(釋迦譜)'를 증수(增修)하였다. 그 후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올라 세조(世祖)의 총애를 받았으며,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에 봉해졌고, 학문(學問)과 문장(文章)에 뛰어나 명(明)나라에까지 문명(文名)을 떨쳤다. 벼슬이 극품(極品)에 이르렀으나 항상 청빈하게 살았다. 1481년(성종12)병이 악화되어 운명이 가까워지자 자제에게 이르기를 '너희들은 부디 '중용(中庸)'과 '대학(大學)' 많이 읽지마라. 내 이제 혼미한 중에서도 눈 앞에 서언한 것은 모두 중용과 대학의 글자 뿐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학문에 깊이가 있었다. 당대의 석학(碩學) 구종직(丘從直)은 남의 표문(表文)을 써준 것을 보고 모래 위에 꿇어 앉으면서 '일전에 비평록 공(公)의 문장이 교묘하다는 말은 들었으나 이 경지에 이를 줄은 몰랐오.'하며 극찬했다고 한다. 김수온(金守溫)의 형(兄)은 신미(信眉)라는 불명(佛名)으로 탈속하여 웅문거필(雄文巨筆)로 명성을 떨쳤으며, 속리산(俗離山) 성불사(成佛사) 복천암(福泉菴)에 사리(舍利)를 남기고 있다. 그 밖의 인물(人物)로는 학행(學行)으로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에 천거되었던 김곤(金滾도)과 뛰어난 효행(孝行)으로 감찰(監察)에 증직된 김언건(金彦建)이 유명했으며, 광해군(光海君) 때 용궁현감(龍宮縣監)을 지낸 김각(金覺)은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김득진(金得進), 부호군(副護軍) 김염근(金廉謹), 김호덕(金好德)등과 함께 충효(忠孝)의 전통가문(傳統家門)인 영산김씨를 더욱 빛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재두(金載斗, 1794 甲寅生) : 문과(文科) 헌종1년(1835) 증광시 병과(丙科)
김진권(金鎭權, 1862 壬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9년(1882) 식년시 이등(二等) 김기준(金基準, 1774 甲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13년(1813) 증광시 삼등(三等) 김영갑(金永甲, 1679 己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1년(1705) 증광시 이등(二等) * 모두 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3명) 세거지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일원
충청남도 서산시 일원 충청남도 당진시 읍내동 일원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분천리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영동
영산(永山)은 충청북도 영동군 일원의 옛지명으로 신라 때에 길동군(吉同郡)이라 불리었이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동현(永同縣)으로 바꾸어 황간현(黃澗縣)과 양산현(陽山縣)을 관할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 계주(稽州)로 승격되어 자사(刺史)가 파견되었으나, 1005년(목종 8)에 폐지되었다. 1018년(현종 9) 상주(尙州)에 예속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 경상도에서 충청도로 이관되었다. 영산(永山). 계산(稽山)등의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 영동군(永同郡)이 되었고, 1896년 충청북도 영동군이 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황간군(黃澗郡)이 폐지되어 영동군에 통합되었고 군내 13개 면이 영동면을 비롯한 7개면으로 통합되었다. 1940년 영동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산김씨는
1985년에는 3,597가구 15,115명, 2000년에는 5,349가구 17,12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4,94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