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예천김씨(醴泉金氏)
    유래
     시조 : 김존사(金存沙)
    시조 김존사(金存沙)는 신라 경순왕의 아들 김선(金鐥)의 8세손인 언양김씨의 중조 김취려(金就礪)의 후손으로 전하나 중간 세계는 불분명하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기남(金己男, 1610 庚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우혁(金宇奕, 1757 丁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7년(1783) 식년시 이등(二等)
     김종우(金宗祐, 186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5년(1888)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
    예천(醴泉)은 경상북도 북서쪽 끝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변진미리미동국(弁辰彌離彌凍國)이라는 소국이 있었다. 신라 영역으로 들어가 수주현(水酒縣)이 되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 예천군이라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에 보주(甫州)로 개칭하였다. 1012년(현종 3) 용궁군(龍宮郡)으로 고쳐져 상주목에 속하였다. 1018년(현종 9) 안동부(安東府)에 편입되었다가 명종 때 기양현(基陽縣)으로 승격, 1204년에는 지보주사(知甫州事)로 승격되었다.
    1416년(태종 16) 예천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729년(영조 5)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연루되어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738년 군으로 환원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용궁군(龍宮郡)을 병합하였고 1937년 예천면은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예천김씨는
    1985년에는 93가구 397명, 2000년에는 281가구 88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6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