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용안김씨(龍安金氏)
    유래
     시조 : 김덕령(金德齡)
    시조 김덕령(金德齡, 1567-1596, 선조0-선조29)의 자는 경수(景樹)이며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의병장으로서 공을 세우고 익호장군(翼虎將軍)에 오르고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원래의 본관은 광산김씨이다.
    용안김씨는 광산김씨의 지파로, '용안김씨족보(龍安金氏族譜 : 1978년도 간행, 戌午譜)' 에 의하면 시조 김덕령은 광산김씨 분관조(分貫祖) 김흥광(金興光)의 31세손으로 광주시 충효동 성안마을에서 1567년 광산김씨 습독공 붕섭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여러 곳에서 큰 공을 세워 익호장군에 올랐고, 충용군(忠勇軍)이란 군호(軍號)까지 받았으나 "간신의 무고로 옥사"하였고 그의 부인 정경부인 이씨(貞敬夫人李氏)도 백척 벼랑에서 투신하여 자결하자 홀로 남은 아들 김광옥(金光沃)은 전북 익산군 용안면에 피신, 본관을 용안으로 하여 신분을 감추고 살다가 외숙 만송당(萬松堂) 이인경(李寅卿)의 임지인 평안도 숙천군 근처 안주군 운곡면 쇠꼴이란 곳에 정착하게 되었는데 이곳이 그의 제2의 고향이고 후손들의 영원한 고향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또 무오보 발문에 김덕령이 시조가 된다는 사실이 확증된 것은 신라김씨 대종사(大宗史)와 양주김씨(陽州金氏)의 족보에 의해 밝혀졌다고 하였으니 그 이전에는 김덕령의 후손임을 알지 못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용안김씨는 그 이후 해방 당시까지 평남 안주군 운곡면 일대에 15대까지 번창하며 평화롭게 살고 있었으나 남북 분단으로 인해 소수의 후손들이 월남하여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익수(金益秀, 1788 戊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16년(1816) 식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김응간(金應簡, 179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철종12년(1861)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족보발간
    - 무오보(戌午譜) : 1978년도 간행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용안김씨는
    1985년에는 50가구 244명, 2000년에는 159가구 50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9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