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인동김씨(仁同金氏)
    유래
     시조 : 김정(金淀)
    시조 김정(金淀)은 신라 경순왕의 제4자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손자인 수원김씨(水原金氏) 시조 김품언(金稟言)의 22세손이며 김예중(金禮仲)의 아들이다. 그는 1456년(세조 2)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정과(丁科)로 급제하고 남학교수(南學敎授), 승문원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역임, 인동부사(仁同府使)를 지냈음이 국조방목(國朝榜目)에 나타나며 수원김씨세보(水原金氏世譜)에도 나타나 있다. 그가 인동김씨 시조로 나오는 점을 미루어 보면 인동부사를 역임한 연유에서 그의 후손이 본관을 인동(仁同)으로 하게 된 것으로 보이나 수원김씨세보에는 그의 후손이 수원김씨 경북 영일군 대송면 사정리파로 되어 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금복(金今福,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익현(金益鉉, 1661 辛丑生) : 무과(武科) 숙종21년(1695) 별시 병과(丙科)
     김주철(金柱喆, 187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5년(1888) 식년시 삼등(三等)
     김호윤(金鎬潤, 1871 辛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김낙도(金樂道, 1734 甲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1년(1765) 식년시 삼등(三等)
     김덕윤(金德潤, 187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김익용(金益鎔, 1655 乙未生) : 역과(譯科) 숙종13년(1687) 식년시 ()
     김상길(金象吉, 1791 辛亥生) : 역과(譯科) 순조9년(1809) 증광시 ()
     김위(金○, 1760 庚辰生) : 음양과(陰陽科) 순조1년(1801) 증광시
     김응(金應, 1764 甲申生) : 음양과(陰陽科) 순조3년(1803) 증광시
    등 모두 1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2명, 생원진사시 4명, 역과 2명, 음양과 2명, 율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
    인동(仁同)은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신라 초에는 사동화현(斯同火縣)·이동혜현(爾同兮縣)이라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수동현(壽同縣)으로 고쳤다. 경덕왕 때 다시 인동현(仁同縣)으로 고치고 별호를 옥산(玉山)이라 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상주목(尙州牧) 경산도호부(京山都護府: 星州)의 속현(屬縣)으로 병합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감무(監務)를 두고 약목현(若木縣)을 속현으로 하였다. 1413년(태종)에 인동현에 현감(縣監)을 두었다가, 1604년(선조 37)에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인동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 인동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군이 폐지되었고 일부 지역은 인동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인동김씨는
    1985년에는 118가구 637명, 2000년에는 389가구 1,28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6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