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정선김씨(旌善金氏)
    유래
     시조 : 김공간(金公侃)
    시조 김공간(金公侃)은 신라 경순왕의 후손으로 전한다.(김씨분종보)
    그는 부사(府使)를 지냈다. 유적(遺蹟)이 없어서 확실한 세계(世系)를 상고할 수 없으며 그의 후손들이 본관을 정선이라 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학규(金學奎, 1875 乙亥生) : 문과(文科) 고종28년(1891) 식년시 을과(乙科)
     김홍일(金弘一, 1639 己卯生) : 무과(武科) 숙종15년(1689) 증광시 병과(丙科)
     김대립(金大立,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효선(金孝善,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천계(金天繼, 1568 戊辰生) : 무과(武科) 선조35년(1602) 별시 병과(丙科)
     김천주(金天柱, 1862 壬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9년(1882) 증광시 삼등(三等)
     김익효(金翼孝, 185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1년(1874) 증광시 삼등(三等)
     김희석(金羲錫, 180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김희헌(金希獻) : 역과(譯科) 중종38년(1543) 식년시 ()
    * 모두 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3명, 역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정선
    정선(旌善)은 강원도 남동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 지역으로 668년(보장왕 27) 잉매현(仍買縣)이라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정선이라 개칭하여 명주(溟州: 江陵)의 영현(領縣)이라 하였다. 1018년(고려 헌종 9) 그대로 명주의 속현으로 하였다가 정선군으로 승격되어 조선시대까지 유지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忠州府) 정선군이 되었고, 1896년 도제(道制) 실시에 따라 다시 강원도 정선군으로 환원되었다. 1973년에 정선면과 동면 사북출장소, 1980년에 신동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5년에는 사북읍이 고한읍과 사북읍으로 분리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정선김씨는
    1985년에는 1,301가구 6,763명, 2000년에는 294가구 1,00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0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