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진도김씨(珍島金氏)
유래
시조 : 김국빈(金國檳)
시조 김국빈(金國檳)은 벼슬이 고려 때 군정사((軍政事)에 이르렀으며 그의 후손들이 진도에 대대로 살면서 본관을 진도로 하였다. 김자경(金自敬)을 시조로 하는 기록도 있는데 신라김씨분종보(新羅金氏分宗譜)에 의하면 고려 때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지낸 김혁흥(金奕興)의 후손인 김자경(金自敬)이 조선에서 선무랑(宣務郞)에 오르고 후손들이 진도에 살아오면서 본관을 진도로 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와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등의 문헌에는 사용(司勇)에 오른 김천손(金千孫)을 1세조로 기록하고 있다. 인물
김자경(金自敬)의 아들 김간(金澗)은 1509년(조선 중종 4) 문과에 급제하여 사예(司藝, 성균관에서 음악을 가르치던 정4품)를 지냈고, 후손 김중태(金重泰)는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한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간(金澗) : 문과(文科) 중종4년(1509) 별시 병과(丙科)
김끝산(金唜山,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기영(金起英, 1618 戊午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김애립(金愛立,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세웅(金世雄, 1594 甲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득남(金得男, 1601 辛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쇠(金金,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시충(金時忠,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대립(金大立,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애남(金愛男,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11명, 생원진사시 8명, 역과 1명, 의과 1명, 율과 6명) 항렬자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도김씨는
1985년에는 315가구 1,363명, 2000년에는 442가구 1,46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39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