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진천김씨(鎭川金氏)
유래
시조 : 김사혁(金斯革)
시조 김사혁(金斯革. 자는 문위, 호는 절정, 시호는 충절)은 1320년1월16일 진천에서 출생 했으며 원래는 강릉김씨의 시조 김주원(金周元)의 후손이다. 그는 1359년(고려 공민왕 9년) 동북면 행영병마부사(行營都兵馬副使)가 되었고 1379년(우왕 6년)에 추밀원사(樞密院使)가 되었다. 양광도 상원수로 있을때 공훈으로 병부상서 판추밀원사 겸 문하부사가 되었다. 1382년 12월 20일 그가 죽은 후 후손들이 진천에 대대로 살아오면서 본관을 진천으로 하였으나, 해방 후 대부분 강릉김씨로 복귀하였다고 한다. - 김사혁의 묘는 충북 진천군 백곡면 석현리 와곡에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정원(金政源, 1802 壬戌生) : 문과(文科) 헌종1년(1835) 증광시 병과(丙科)
김늣남(金㗡男, 1613 癸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진횡(金震鐄, 1632 壬申生) : 무과(武科) 숙종10년(1684) 정시 병과(丙科) 김승훈(金升勳, 181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증광시 삼등(三等) 김계사(金季嗣, 1581 辛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년(1624) 증광시 삼등(三等) 김남경(金南炅, 1641 辛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3년(1662) 증광시 삼등(三等) 김남욱(金南煜, 1632 壬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3년(1662) 증광시 삼등(三等) 김종효(金宗孝, 156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9년(1606) 식년시 삼등(三等) 김흥경(金興慶, 1546 丙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21년(1588) 식년시 삼등(三等) 김병화(金秉和, 180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10년(1844)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0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
진천(鎭川)은 충청북도(忠淸北道) 북서쪽 끝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 금물노군(今物奴郡) 또는 수지군(首知郡)·신지군(新知郡) 등으로 불렸다가 5세기 후반 신라의 북진에 따라 신라의 영토가 되어 484년(소지왕 6) 만노군(萬弩郡)이 설치되었다. 685년(신라 신문왕 5) 흑양군(黑壤郡)으로 개칭하였고, 도서현(都西縣)과 음성현(陰城縣)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고려 초에 와서 강주(降州)로 불렸다가 진주(鎭州)로 개칭하였고, 995년(성종 14)에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에 폐지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청주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창의현(彰義縣)으로 승격 분리하여 현령(縣令)을 두었으며, 1269년(원종 10)에 의령군(義寧郡)으로 승격되었다가 뒤에 다시 진천으로 강등되어 감무(監務)가 파견되었다. 1414년(태종 14)에 진천현으로 되어 현감(縣監)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 진천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북도 진천군이 되었다. 1973년에 진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천김씨는
1985년에는 563가구 2,545명, 2000년에는 580가구 1,88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999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