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청주김씨(淸州金氏)
    유래
    청주김씨는 같은 본관으로 시조를 다르게 하는 3계통이 있다.

    [ 김정 계 ]
    김정(金錠)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여섯째 아들로 공을 세워 청주군에 봉해지고 청주를 식읍으로 하사 받았으므로 후손들이 청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10세손인 김보(金甫)를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김보는 김예(金藝), 김전(金篆), 김양(金蘘) 3형제를 두었는데 큰 아들 김예가 함경도 북청(北靑)에 이주하여 그 후손들이 그곳에서 세거하게 되었다.

    [ 김하통 계 ]
    시조 김하통(金夏通)은 김방경(金方慶)의 6세손이다. 아버지 김사의(金士儀)는 청주에서 대대로살며 고려 말에 벼슬을 하였으나 조선이 개국을 하자 절의를 지켜 벼슬을 하지 않고 청주(淸州)에 은거하였다. 그 후 아들 김하통이 함경도 함흥으로 이사하여 대를 이어 살았으므로 후손들이 청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 김사지 계 ]
    시조 김사지(金四知)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일곱째 아들인 양군(彦陽君) 김선(金鐥)의 15세손이다. 김사지는 청주에 대대로 살아 왔는데 문과에 급제한 후 좌랑(佐郞), 전적(典籍)을 거쳐 연산군 때 참의(參議)에 이르렀다. 그러나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함경도 홍원(洪原)으로 유배되어 살면서 후손들이 조상이 살던 청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시현(金時鉉) : 문과(文科) 인조21년(1643) 별시 을과(乙科)
     김진억(金鎭億, 1693 癸酉生) : 문과(文科) 영조4년(1728) 별시 병과(丙科)
     김재호(金在浩, 1778 戊戌生) : 문과(文科) 순조9년(1809) 별시 병과(丙科)
     김용일(金鏞一, 1871 辛未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 병과(丙科)
     김구정(金龜禎, 1693 癸酉生) : 문과(文科) 영조17년(1741) 식년시 병과(丙科)
     김인채(金麟采, 1733 癸丑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증광시 병과(丙科)
     김기승(金耆升, 1783 癸卯生) : 문과(文科) 순조22년(1822) 식년시 병과(丙科)
     김회신(金懷愼) : 문과(文科) 세조6년(1460) 평양별시 삼등(三等)
     김위국(金緯國, 1619 己未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성길(金成吉, 1652 壬辰生) : 무과(武科) 숙종12년(1686) 별시 을과(乙科)
    등 모두 5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8명, 무과 33명, 생원진사시 11명, 의과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현천리, 성전면 명산리
    평안북도 강계군 강계읍 동부동, 서부동
    평안남도 성천군 영천면 요파리
    함경남도 안변군 배화면 일원
    항렬자

     김정(金錠) 계 - 김보계
    32世
    元(원)
    33世
    亨(형)
    34世
    利(이)
    35世
    貞(정)
    36世
    仁(인)
    37世
    義(의)
    38世
    禮(예)
    39世
    智(지)
    40世
    -
    41世
    -

     김하통(金夏通) 계
    57世
    斗(두)
    烈(열)
    58世
    鍾(종)
    敎(교)
    59世
    求(구)
    鎬(호)
    60世
    楨(정)
    永(영)
    61世
    容(용)
    集(집)
    62世
    時(시)
    熙(희)
    63世
    鉉(현)
    均(균)
    64世
    河(하)
    善(선)
    65世
    -
    66世
    -

     김사지(金四知) 계
    11世
    遠(원)
    12世
    大(대)
    13世
    行(행)
    14世
    彦(언)
    15世
    圭(규)
    16世
    鍾(종)
    17世
    在(재)
    18世
    -
    19世
    -
    2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2世孫은 1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
    청주(淸州)는 충청북도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도청소재지이다. 삼한시대에 마한의 땅이었다가 백제시대에 상당현(上黨縣), 일명 낭비성(娘臂城) 또는 낭자곡(娘子谷)이라고도 하였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淸州)로 지명을 고쳤고 983년(성종 2) 청주목이 된 뒤 995년(성종 14)에는 절도사를 두었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牧)을 설치함에 따라 다시 청주목이 되고,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청주는 주(州)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복구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청주목을 유지하면서 충청도의 정치·행정의 중심지였으며, 1651년(효종 2)에는 충청도의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전되어 충청도의 군사적인 중심지도 겸하였다. 그러나 역모사건 등으로 1656~1667년, 1681~1689년, 1804~1813년, 1826~1834년, 1862~1871년 등 여러 차례 서원현(西原縣) 등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청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이 되었다. 1906년 관찰사를 충주에서 청주로 이전함으로써 비로소 충청북도의 주도(主都)가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청주면(淸州面)이라 개칭하였고, 1931년에는 지방제도 개정에 따라 읍으로, 1946년에는 청주부(淸州府)로 승격하였다. 1949년 지방자치법에 따라 청주시로 개칭하였고 1983년 전국 행정구역 조정으로 청주시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1995년 동부·서부 출장소가 동부는 상당구(上黨區)로, 서부는 흥덕구(興德區)로 승격하여 현재 상당구·흥덕구 2개 구가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주김씨는
    1985년에는 6,430가구 26,524명, 2000년에는 9,161가구 29,19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3,68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