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청풍김씨(淸風金氏)
    유래
     시조 : 김대유(金大猷)
    시조 김대유(金大猷)는 신라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인 김순웅(金順雄)의 12세손이다. 김순웅은 경순왕의 장남인 마의태자 김일(金鎰)의 둘째아들이다.

    시조 김대유는 고려 말에 문하시중(門下侍中 : 고려 때 문하성의 정1품 으뜸 벼슬)을 지내고 청성(淸城 : 청풍의 별호) 부원군(府院君)에 추봉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청풍으로 하였다.

    - 묘는 충북 제천시 수산면 도전리에 있다.
    인물
    - 김식(金湜) : 성리학자이며 대사성을 지냈다.
    - 김육(金堉) : 영의정을 지냈다.
    - 김좌명(金佐明) : 판서를 지냈다.
    - 김우명(金佑明) : 현종의 국구이다.
    - 김석주(金錫胄) : 우의정을 지냈다.
    - 김시묵(金時默) : 정종의 국구이며 판서를 지냈다.
    - 김구(金構) : 우의정이며 그의 아들 김재로(在魯)와 손자 김치인(致仁)은 부자 영의정으로 유명하다.
    - 김종수(金鍾秀) : 좌의정을 지냈다.
    - 김종후(金鍾厚) : 성리학자이다.
    - 김취로(金取魯) : 판서를 지냈다.
    - 김약로(金若魯) : 좌의정을 지냈다.
    - 김상로(金尙魯) : 영의정을 지냈다.
    - 그밖에 판서를 지낸 김원식(金元植), 김경선(金景善), 김익문(金益文), 김종정(金鍾正), 김동건(金東健), 김학성(金學性)이 있다.
    주요 인물
    김유정(金裕貞)김간(金榦)김경선(金景善)김계(金繼)김구(金構)
    김권(金權)김규식(金奎植)김규식(金奎軾)김규홍(金奎弘)김기서(金箕書)
    김기찬(金基纘)김기풍(金基豊)김기후(金基厚)김길통(金吉通)김덕무(金德懋)
    김도수(金道洙)김동건(金東健)김동헌(金東獻)김두명(金斗明)김만식(金晩植)
    김만식(金晩植)김명연(金明淵)김상로(金尙魯)김상묵(金尙默)김석문(金錫文)
    김석연(金錫衍)김석익(金錫翼)김석일(金錫一)김석주(金錫胄)김성응(金聖應)
    김성후(金聖垕)김세호(金世鎬)김수성(金遂性)김순(金洵)김순명(金順命)
    김시국(金蓍國)김시묵(金時默)김시번(金始蕃)김식(金湜)김신국(金藎國)
    김약로(金若魯)김용원(金鏞元)김우명(金佑明)김원식(金元植)김유(金楺)
    김유성(金裕成)김유택(金裕澤)김유행(金裕行)김육(金堉)김윤식(金允植)
    김익문(金益文)김익정(金益鼎)김익휴(金翊休)김재로(金在魯)김전(金㙉)
    김정식(金貞植)김종선(金宗善)김종수(金鍾秀)김종정(金鍾正)김종후(金鍾厚)
    김좌명(金佐明)김중명(金重明)김지묵(金持默)김질(金耋)김징(金澄)
    김취로(金取魯)김치만(金致萬)김치인(金致仁)김치후(金致垕)김평묵(金平默)
    김하명(金夏明)김학성(金學性)김회연(金會淵)김흥우(金興宇)김희로(金希魯)
    김희채(金熙采)김희화(金熙華)명성왕후(明聖王后)효의왕후(孝懿王后)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길통(金吉通, 1408 戊子生) : 문과(文科) 세종14년(1432)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김육(金堉, 1580 庚辰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동원(金東元, 1814 甲戌生) : 문과(文科) 철종6년(185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시번(金始蕃, 1608 戊申生) : 문과(文科) 인조10년(1632)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치후(金致○, 1692 壬申生) : 문과(文科) 영조2년(1726)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식(金湜, 1482 壬寅生)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현량과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치인(金致仁, 1716 丙申生) : 문과(文科) 영조24년(1748)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광묵(金光默, 1730 庚戌生) : 문과(文科) 영조43년(1767) 정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석주(金錫胄, 1634 甲戌生) : 문과(文科) 현종3년(1662)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구(金構, 1649 己丑生) : 문과(文科) 숙종8년(1682)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36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03명, 무과 24명, 생원진사시 238명, 의과 1명, 율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충청북도 충주시 이유면 금곡리
    충청북도 청주시 강외면 쌍청리
    충청북도 청주시 강외면 봉산리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귀여리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성동리
    경기도 의왕시 왕곡동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신봉리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신부리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내안리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가장리
    황해도 해주시
    족보발간
    옥하보(玉河譜 - 丁丑 1637年, 李朝 仁祖인조 15年)
    을미보(乙未譜 - 1715年, 李朝 肅宗숙종 15년)
    경오보(庚午譜 - 1750年, 李朝 英祖영조 26년)
    정사보(丁巳譜 - 1857年, 李朝 哲宗철종 8년)
    기미보(己未譜 - 1919年)
    무술보(戊戌譜 - 1958年)
    기사보(己巳譜 - 1989年)
    경인보(庚寅譜 - 2010年)
    항렬자

     판봉상시사공파(判奉常寺事公派)
    17世
    ○노(魯)
    18世
    치(致)○
    19世
    종(鍾)○
    20世
    ○연(淵)
    21世
    동(東)○
    22世
    ○성(性)
    23世
    규(奎)○
    24世
    진(鎭)○
    25世
    ○영(永)
    26世
    상(相)○
    27世
    ○용(容)
    28世
    희(喜)○
    29世
    ○일(鎰)
    30世
    한(漢)○
    31世
    ○직(稷)
    32世
    형(炯)○
    33世
    ○기(基)
    34世
    선(善)○
    35世
    ○순(淳)
    36世
    병(秉)○
    37世
    ○환(煥)
    38世
    재(載)○
    39世
    ○석(錫)
    40世
    홍(泓)○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청로상장군공파(淸虜上將軍公派), 영동정공파(令同正公派)
    17世
    ○도(道)
    18世
    성(聖)○
    19世
    ○묵(默)
    20世
    기(基)○
    21世
    ○선(善)
    22世
    익(益)○
    23世
    ○식(植)
    24世
    유(裕)○
    25世
    ○수(壽)
    26世
    주(周)○
    27世
    ○구(九)
    28世
    병(昞)○
    29世
    ○령(寧)
    30世
    성(成)○
    31世
    ○기(紀)
    32世
    용(庸)○
    33世
    ○재(宰)
    34世
    중(重)○
    35世
    ○규(揆)
    36世
    보(輔)○
    37世
    ○량(亮)
    38世
    회(會)○
    39世
    ○현(顯)
    40世
    국(國)○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8世孫은 1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
    청풍(淸風)은 충청북도 제천시(堤川市)에 있던 옛 지명이다. 고구려 때에는 사열이현(沙熱伊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청풍(淸風)으로 고쳐 내제군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현종 9) 충주에 속하였다가, 1660년(현종 1) 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청풍군이 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제천군에 병합시켜 읍내면이라 하였다가, 1917년 청풍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풍김씨는
    1985년에는 20,189가구 82,882명, 2000년에는 29,527가구 94,46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0,81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