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충주김씨(忠州金氏)
유래
시조 : 김남길(金南吉)
시조 김남길(金南吉)은 신라 경순왕의 셋째 아들 김명종(金鳴鐘)의 16세손이라고 한다. 김남길은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여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으며 민왕 때 태자대부를 지낸 뒤 충원군(忠原君, 현 충주)에 봉해져서 후손들이 본관을 충주로 하였다. 인물
시조 김남길(金南吉)의 현손(玄孫) 김만수(金萬守)의 아들 김도민(金道敏)은 1466년(세조 12)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올라 직간(稙諫)을 하다가 평북 철산(鐵山)으로 유배되었고, 그후 아우 김운민(金雲敏)은 함남 정평(定平)으로 이주하였으며, 김도민(金道敏)의 둘째 아들 김양한(金亮漢)은 평북 벽동(碧潼)으로, 세째 김양희(金亮禧)는 평북 의주(義州)로 옮겨 살면서 후손들이 관서북 지방에 많이 살게 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대윤(金大胤, 1854 甲寅生) : 문과(文科) 고종6년(1869) 별시 병과(丙科)
김경유(金景游, 1814 甲戌生) : 문과(文科) 헌종12년(1846) 식년시 병과(丙科) 김열(金洌, 1684 甲子生) : 문과(文科) 숙종43년(1717) 식년시 병과(丙科) 김병원(金炳垣, 1805 乙丑生) : 문과(文科) 철종2년(1851) 별시2 병과(丙科) 김봉오(金鳳梧, 1790 庚戌生) : 문과(文科) 순조27년(1827) 증광시 을과(乙科) 김무선(金武善,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필증(金必曾,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명길(金明吉, 1596 丙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운내(金云乃, 1599 己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계민(金繼民, 1602 壬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무과 11명, 생원진사시 12명) 세거지
평안남도 평원군 동암면 반송리
평안남도 대동군 남형제면, 남관면 평안남도 평원군 천도면 평안남도 덕천군 잠도면 용상리 평안북도 벽동군 오북면 평안북도 벽동군 우시면 우하동 평안북도 벽동군 가별면 평안북도 영변군 백령면 용연동 평안북도 정주군 옥천면 상단동 평안북도 초산군 풍면, 판면, 강면, 성면 평안북도 강계군 강계읍, 문오면 함경남도 문천군 명효명, 구산면 함경북도 성진시 욱동 함경북도 명천군 두일면, 상가면, 아간면, 하가면, 웅평면, 동해면, 덕산면 함경북도 성진군 성진읍 함경북도 경흥군 웅기읍 비파동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
충주(忠州)는 충청북도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BC 3∼4세기에는 마한에 속하였다. 그 뒤 마한이 백제에 병합되었으나, 다시 고구려에 속해 475년(고구려 장수왕 63) 국원성(國原城)이라 하였다. 557년(신라 진흥왕 18) 국원소경(國原小京)이라 하였고, 757년(경덕왕 16) 중원소경(中原小京)이라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충주라 개칭하였고, 983년(성종 2) 충주목(忠州牧)이라고 하였다. 995년(성종 14) 창화군(昌化軍)으로 바꾸고 절도사(節度使)를 파견하여 중원도(中原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가 1018년에 전국의 8개목 중 하나가 설치되어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254년(고종 41)에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었다가 뒤에 다시 목으로 환원되었으며 1310년(충선왕 2)에는 충주로 강등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충주목이 되었다. 1395년(태조 4) 충청도관찰사를 두었으며, 명종·광해군·인조·숙종·영조 등 여러 시기에 모반 등으로 인해 유신현(維新縣) 또는 충원현(忠原縣)으로 개칭되면서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 충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 실시로 충주부가 폐지되었고 충청북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08년(순종 2) 도청을 청주로 이전시키고 군수를 두었다. 1917년 충주군 읍내면이 충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56년 7월 충주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은 중원군으로 분리되었다. 1989년 중원군 살미면 목벌리(木伐里)와 이류면 만정리(萬井里) 일부를 충주시에 편입하였고, 1995년 충주시와 중원군이 통합하여 충주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충주김씨는
1985년에는 2,095가구 8,342명, 2000년에는 2,923가구 9,09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582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