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김승무(金承茂)
시조 김승무(金承茂 : 초명은 낙진)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영분공(永芬公) 김명종(金鳴鐘)의 14세손이며, 평장사(平章事) 김궤(金軌)의 아들이다. 문헌에 의하면 그는 고려 고종(高宗朝)때에 문과에 급제하고 사한(史翰)을 거쳐 시어사(侍御史)에 이르렀으며, 황해도 평산에 세거한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평산김씨는 상계(上系)를 고증할 문헌이 없어 중간계대를 밝히지 못하고 있으며, 북한에 족보를 두고 월남한 후손들이 족보 재발간을 위하여 백방으로 옛족보 찾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두성(金斗性, 1840 庚子生) : 문과(文科) 고종23년(1886) 함경도도과 병과(丙科)
김생일(金生日,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사룡(金士龍,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일성(金日成, 1601 辛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효신(金孝信, 1627 丁卯生) : 무과(武科) 현종7년(1666) 별시 병과(丙科)
김구환(金龜煥, 1848 戊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0년(1873) 식년시 삼등(三等)
김계정(金季鼎)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예종1년(1469) 증광시 이등(二等)
김언신(金彦臣) : 의과(醫科) 중종20년(1525) 식년시 ()
* 모두 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2명, 의과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평산
평산(平山)은 황해도 남동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평주(平州)의 다른 이름이다. 고구려 때에는 대곡군(大谷郡) 또는 다지실(多知悉)이라 하였으며, 747년(신라 경덕왕 6) 대곡성을 설치하였고, 757년(경덕왕 16)엔 영풍군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783년(선덕여왕 4)에는 진(鎭)을 두고 한주(漢州)에 예속시켰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명칭을 평주로 바꾸었고, 성종 때 방어사(防禦使), 현종 때는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1272년(원종 13)엔 복흥군(復興郡) 즉 배천(白川)에 잠시 예속되었다가 충렬왕 때 다시 복구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평산으로 바꾸고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평산군으로 개편하였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서부의 일부를 연백군에 이속시켰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산김씨는
1985년에는 275가구 1,213명, 2000년에는 538가구 1,59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3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