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풍산김씨(豊山金氏)
유래
시조 : 김문적(金文迪)
시조 김문적(金文迪)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네째 아들 김은열(金殷說)의 11세손이다. 김문적이 풍산현(현 안동)에 살면서 고려 때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판사사(判司事)에 올랐으며 풍산백(豊山伯)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풍산으로 하였다. 인물
- 김양진(楊震) : 조선시대의 중추부동지사를 지냈다.
- 김수현(壽賢) : 우참찬을 지냈다. - 김응조(應祖), 김봉조(奉祖) : 문장가이다. - 김종휴(宗烋) : 학자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수현(金壽賢, 1565 乙丑生) : 문과(文科) 선조35년(160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김두흠(金斗欽) : 문과(文科) 고종3년(1866) 중시 병과(丙科) 김영조(金榮祖, 1577 丁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증광시 병과(丙科) 김서응(金瑞應, 1713 癸巳生) : 문과(文科) 영조26년(1750) 식년시 병과(丙科) 김필원(金必源, 1722 壬寅生) : 문과(文科) 영조35년(1759) 식년시 병과(丙科) 김종태(金宗泰, 1800 庚申生) : 문과(文科) 철종1년(1850) 증광시 병과(丙科) 김호(金鎬, 1526 丙戌生) : 문과(文科) 명종17년(1562) 별시 병과(丙科) 김서진(金瑞陳) : 문과(文科) 세종20년(1438) 식년시 정과(丁科) 김규운(金奎運, 1801 辛酉生) : 문과(文科) 철종1년(1850) 증광시 병과(丙科) 김서복(金瑞復, 1742 壬戌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1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7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85명) 세거지
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원당리
충청북도 중원군 주덕면 화곡리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오록리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면 오미동 황해도 연백군 금산면 은산리 황해도 평산군 마산면 일원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풍산(豊山)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일대의 옛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하지현(下枝縣)이라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안(永安)으로 개칭되어 예천군의 관할로 하였다. 923년(고려 태조 6)에는 풍산(豊山) 또는 풍악현(豊岳縣)이라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길주(吉州: 安東)에 예속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가 뒤에 안동도호부에 합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동군 풍산현의 4개 동 및 서선면 일부 7개동을 병합하여 풍산면으로 개칭하여 11개 동으로 개편 관할하다가 1973년에 풍산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95년 안동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풍산김씨는
1985년에는 2,755가구 11,374명, 2000년에는 3,872가구 12,43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31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