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한양김씨(漢陽金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득철(金得哲, 1609 己酉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조경(金祖慶, 1782 壬寅生) : 역과(譯科) 순조1년(1801) 증광시 ()
김정호(金挺豪, 1701 辛巳生) : 역과(譯科) 숙종46년(1720) 식년시 ()
김정위(金挺偉, 1712 壬辰生) : 역과(譯科) 영조8년(1732) 식년시 ()
김인관(金仁觀, 1832 壬辰生) : 역과(譯科) 고종7년(1870) 식년시 ()
김인겸(金仁謙, 1847 丁未生) : 음양과(陰陽科) 고종1년(1864) 증광시
김인복(金仁復, 1829 己丑生) : 음양과(陰陽科) 헌종10년(1844) 증광시
김진호(金晉祜, 1808 戊辰生) : 음양과(陰陽科) 순조31년(1831) 식년시
김면수(金勉修, 1777 丁酉生) : 음양과(陰陽科) 순조10년(1810) 식년시
김영기(金永基) : 음양과(陰陽科) 고종11년(1874) 증광시
* 모두 1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역과 4명, 음양과 5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서울특별시
한양(漢陽)은 현재 서울특별시에 해당하는 옛 지명으로 사람이 정착해 살기 시작한 것은 이미 선사시대부터이다. 백제 371년(근초고왕 26) 백제가 먼저 이 지역을 점령하고 한산이라 하였고, 392년(고구려 광개토대왕 2) 한때 이 지역을 점령했고, 475년(장수왕 63)에는 북한산주 설치하였다.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553년(신라 진흥왕 14) 신주(新州)로 개칭하였다가 557년(진흥왕 18) 9주 중 한산주(漢山州)에 속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한주(漢州)라 개칭하면서 서울 일원을 한양군(漢陽郡)으로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12목의 하나인 양주목(楊州牧)으로 승격되었고, 1067년(문종 21)에는 3경의 하나인 남경(南京)이 되었다가 1308년(충렬왕 34) 한양부(漢陽府)로 개칭하였다. 1393년(태조 3)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하고 이듬해 한성부(漢城府)로 개칭하였고 도성을 중심으로 성저 10리에 이르는 5부(東部·西部·南部·北部·中部) 52방(坊)의 행정구역을 확정하였다. 1399년(정종 1)에는 수도를 개성으로 옮겼다가 6년후인 1405년(태종 5)에 한성으로 환도한 일이 있고, 1592년(선조 25)에는 임진왜란으로 의주에 파천하였다가 그 이듬해에 환도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한성군으로 격하되었다가 1896년 한성부로 환원되었고, 1910년에는 경성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1945년에 서울시로 개편하고, 1949년 서울특별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가 비로소 이루어져 지방자치의 시대를 열었다.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에서 광진구, 도봉구에서 강북구, 구로구에서 금천구가 분구되어 관할구가 25개로 늘어났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한양김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1가구 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08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