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함창김씨(咸昌金氏)
    유래
    함창김씨(咸昌金氏)는 근원을 달리하는 두 계통이 있다.

    [ 고령가야 계 ]
    시조는 고령가야(古寧伽倻)의 왕이며 그는 김수로왕(金首露王)과 함께 금합에서 나온 6명중의 한명이라고 한다. 그리고 금합에서 나왔기 때문에 성을 김씨로 하였으며 고령가야가 지금의 함창이기 때문에 후손들이 본관을 함창으로 하였다.

    그 후의 후손들은 알 수가 없으며 후손으로 고려 인종 때 출생한 덕원군(德原君) 김종제(金宗悌)와 덕양군(德陽君) 김종계(金宗繼) 형제를 중시조로 하고 있다. 그 후 의산군(宜山君) 김세순(金世珣)을 1세조로 하는 파와 어사공(御使公) 김균(金勻)을 1세조로 하는 지파가 있다.

    [ 신라 계 ]
    신라 경순왕의 후손인 김인관(金仁琯)의 14세손 김선(金瑄)을 시조로 한다. 김선은 1468년(세조 14)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강원감사(江原監司)로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함안군(咸安君 : 함창)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함창을 본관으로 하고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요흠(金堯欽, 1614 甲寅生) : 문과(文科) 인조27년(1649) 정시 병과(丙科)
     김구정(金九鼎, 1550 庚戌生) : 문과(文科) 선조15년(1582) 식년시 병과(丙科)
     김기헌(金騏獻, 1797 丁巳生) : 문과(文科) 순조23년(1823) 정시 을과(乙科)
     김시빈(金始鑌, 1684 甲子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별시 병과(丙科)
     김진하(金鎭河, 1786 丙午生) : 문과(文科) 헌종7년(1841) 정시 병과(丙科)
     김선(金瑄) : 문과(文科) 세조14년(1468) 춘당대시 병과(丙科)
     김경원(金慶遠,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인조27년(1649) 정시 병과(丙科)
     김문(金文, 1550 庚戌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김개보(金介福, 1606 丙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득길(金得吉,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4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명, 무과 7명, 생원진사시 28명, 역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건진리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호탄리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인창리
    경상북도 영풍군 단산면 사천리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일원
    항렬자
    25世
    여(汝)
    26世
    상(相)
    27世
    영(榮)
    열(烈)
    28世
    원(遠)
    태(泰)
    29世
    석(錫)
    하(夏)
    30世
    수(洙)
    일(一)
    31世
    동(東)
    식(植)
    32世
    용(容)
    준(俊)
    33世
    재(在)
    중(中)
    34世
    흠(欽)
    서(瑞)
    35世
    승(承)
    원(源)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
    함창(咸昌)은 경상북도 상주시(尙州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고대에는 고령가야국(古寧伽倻國)이었다. 524년(신라 법흥왕 11) 고동람군(古冬攬郡: 古陵縣)이 설치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 고령군(古寧郡)으로 고쳤으며, 관산현(冠山縣)·가선현(嘉善縣)·호계현(虎溪縣)을 영현으로 관장하였다. 964년(고려 광종 15) 함녕군(咸寧郡)으로 고쳐 1018년(현종 9) 상주(尙州)에 속하게 하였다가 후에 함창현으로 개칭했고,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 태종이 현감(縣監)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함창군으로 개편되었다가, 1896년 경상북도 함창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폐지되고 상주군에 병합되면서 함창면이 되었고, 1980년에 함창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함창김씨는
    1985년에는 5,589가구 22,331명, 2000년에는 8,391가구 26,31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8,34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