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해평김씨(海平金氏)
    유래
     시조 : 김훤술(金萱述)
    시조 김훤술(金萱述)은 신라말 해평현의 호족으로서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27세손이며 신라 제46대 문성왕(文聖王)의 4대손으로 시호는 장열(莊烈)이다.

    신라 말기에 궁예(弓裔)와 견훤(甄萱)의 침공으로 민생이 도탄에 빠지자 태조 왕건(王建)을 도와 참전하여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라 해평현(海平縣)을 식읍지(食邑地)로 받고 해평군(海平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해평으로 하고 있다.

    그의 후손으로 고려 때에 전직(殿直)을 지낸 김태(金兌)를 1세조로 하고 있다.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 시중사(侍中祠) 숭덕재(崇悳齋)에 김훤술의 석상을 모시고 매년 배향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경(金璟) : 문과(文科) 중종34년(1539) 별시 을과(乙科)
     김재사(金在司, 1874 甲戌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2 병과(丙科)
     김극유(金克柔, 1390 庚午生) : 문과(文科) 태종2년(1402)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김맹성(金孟性) : 문과(文科) 성종7년(1476) 별시 병과(丙科)
     김주(金輳, 1564 甲子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증광시 병과(丙科)
     김재서(金在序, 1869 己巳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 병과(丙科)
     김주(金輳, 1564 甲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8년(1605) 증광시 이등(二等)
     김백환(金百○)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8년(1513) 식년시 이등(二等)
     김횡(金○)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3년(1528) 식년시 삼등(三等)
     김적화(金○華, 1812 壬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15년(1849) 식년시 이등(二等)
    * 모두 1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명, 생원진사시 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군위군 군위읍 정리
    항렬자
    25世
    석(錫)
    26世
    영(永)
    27世
    재(在)
    28世
    현(顯)
    29世
    희(禧)
    30世
    진(鎭)
    31世
    -
    32世
    -
    33世
    -
    3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
    해평(海平)은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 해평면 일대에 있던 지역이다. 신라의 병정현(竝井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파징현(波澄縣)이라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해평군(海平郡)으로 개편되어 후에 복주(福州: 安東)가 관할 하였고, 1018년(현종 9)에는 상주(尙州)로 이속되었다가, 1143년(인종 21)에는 선산도호부(善山都護府)로 이속되었다. 1415년(태종 5)에 해평현(海平縣)으로 강등된 후 선산군(善山郡)에 폐합되었다. 1978년에 구미읍이 시로 승격하였고 1995년에는 구미시와 선산군이 통합되어 구미시 해평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해평김씨는
    1985년에는 1,053가구 4,300명, 2000년에는 1,449가구 4,64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79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