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해풍김씨(海豊金氏)
유래
시조 : 김숭선(金崇善)
시조 김숭선(金崇善)은 고려 중기에 벼슬이 예부상서(禮部尙書)와 병부전서(兵部典書)에 오르고 해풍부원군(海豊府院君)에 봉해져서 그의 후손들이 본관을 해풍으로 하였다. - 김숭선의 6세손 김니(金泥)는 덕수김씨, 10세손 김수(金守)는 정주김씨로 분관 되었으나 현재는 합본하였다. 인물
- 김대(金岱) : 문하평장사를 지냈다.
- 김성(金城), 김수(洙), 김상옥(相玉) : 조선시대의 훈련원정(訓鍊院正)을 지냈다. - 김영(金煐) : 공조판서를 지냈다. - 김혁(金爀), 김일(鎰) :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 김건(金鍵) : 어영대장을 지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경(金瓊) : 무과(武科) 중종35년(1540) 식년시 을과(乙科)
김하중(金夏重, 1656 丙申生) : 무과(武科) 숙종7년(1681) 식년시 병과(丙科) 김성(金城, 1625 乙丑生) : 무과(武科) 인조26년(1648) 식년시 을과(乙科) 김첩(金堞, 1632 壬申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김체건(金體乾, 1605 乙巳生) : 무과(武科) 인조11년(1633) 식년시 을과(乙科) 김우(金雨, 1625 乙丑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식년시 을과(乙科) 김제풍(金悌豊, 1803 癸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27년(1827) 증광시 이등(二等) 김상혁(金尙爀, 1777 丁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9년(1809) 증광시 이등(二等) 김상록(金尙祿, 1795 乙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28년(1828) 식년시 이등(二等) 김영철(金永喆, 180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3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6명, 생원진사시 21명, 역과 8명, 율과 1명) 세거지
경기도 화성시 일원
경기도 개풍군 일원 제주도 제주시 일원 강원도 화천군 화천면 대이리 황해도 사리원시 신창리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개풍
해풍(海豊)은 황해도 개풍군(開豊郡)의 옛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 때에는 정주(貞州)라 불렀다. 1018년(고려 현종 9) 정주가 개성현에 속하게되었으나 1108년(예종 3) 승천부(昇天府)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 해풍군(海豊郡)으로 강등되었다. 1398년(태조 7)에 덕수현이 병합되었고, 1413년(태종 13) 다시 개성부에 합속되었다가, 1418년에 환원되었다. 1442년(세종 24) 덕수현(德水縣)과 합하여 풍덕군(豊德郡)으로 개편되었고, 1649년(효종 1)에는 도호부가 설치되었다. 1823년(순조 23) 개성에 병합되었다가, 1866년(고종 3)에 다시 복구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풍덕군은 폐지되어 개성군에 통합되었다. 1930년 개성군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은 개성과 풍덕이 합쳐서 개풍군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해풍김씨는
1985년에는 1,988가구 8,141명, 2000년에는 2,859가구 9,29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934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