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김인의(金仁義)
홍주김씨는 신라 경순왕의 후손으로 시조를 달리하는 두 계통이 있다.
[김인의 계]
시조 김인의(金仁義)는 신라 경순왕의 여섯째 아들 강릉군(江陵君) 김건(金鍵)의 후손으로 후 강릉김씨에서 분적한 본관이다. 김인의는 홍주(홍천)에서 살던 김인의가 그가 덕천군수(德川郡守)가 되자 이사하여 용천(龍川), 철산(鐵山) 등에서 살면서 고향인 홍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김건은 고려 태조 왕건의 외손이기도 하다.
[김순 계]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의 후손으로 전하는 김순(金珣)을 1세조로하는 태천파(泰川派)가 있다. 태천은 평안북도 태천군이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수종(金秀宗, 1645 乙酉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김계인(金戒仁,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익창(金翼昌, 1612 壬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진형(金鎭珩)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4년(1768) 식년시 이등(二等)
* 모두 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3명, 생원진사시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세거지
- 평북 철산군 정혜면 고암동
- 평북 철산군 백량면 삼학동
- 평북 태천군 서성면 강북동
- 평북 용천군 양하면 시남동
항렬자
15世
영(英) 혁(赫)
|
16世
유(有) 득(得)
|
17世
서(西) 창(昌)
|
18世
제(濟) 원(元)
|
19世
근(根) 섭(燮)
|
20世
수(洙)
|
21世
-
|
22世
-
|
23世
-
|
2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6世孫은 15代孫)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
홍주(洪州)는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사시량현(沙尸良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평현(新平縣)으로 개칭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운주(運州)로 개편하여 도단련사(都團練使)를 파견하였다가 1012년(현종 3) 도단련사를 폐지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둔 후 홍주(洪州)로 개칭하였다. 1356년(공민왕 5)에 홍주목(洪州牧)으로 승격하었다. 조선시대에는 현종 때 잠시 홍양현(洪陽縣)으로 되었다가 곧 복구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가 되었다가, 1896년 도제 실시로 충청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홍주부를 폐지하여 일부는 청양군(靑陽郡)에 속하고 그 나머지는 홍주면으로 축소되어 결성군(結城郡) 일원과 병합한 홍성군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홍주김씨는
1985년에는 273가구 1,091명, 2000년에는 266가구 88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0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