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안정나씨(安定羅氏)
유래
시조 : 나천서(羅天瑞)
시조 나천서(羅天瑞)는 의성군 안계면 안정리에서 출생하여 고려 공민왕때 삼중대광 문하시중을 지냈다. 1370년(고려 공민왕 19) 동북면 원수 이성계(李成桂)가 요동의 동녕부를 정벌하고 귀환할 때 추위와 기근으로 아사지경에 이른 만오천여 군사를 진무 나천서(羅天瑞)가 수백석의 양곡을 구하여 무사히 생환시킨 공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되고 안천군(安川君)과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지고 안정현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본관을 안정으로 삼게 되었다. 참고로 시조 나천서는 금성나씨의 시조 나총례(羅聰禮) 또는 나주나씨의 시조 나부(羅富)의 후손이 아니라고 안정나씨 대종회에서 밝히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나채규(羅采奎, 1816 丙子生) : 문과(文科) 헌종4년(1838) 알성시 병과(丙科)
나혁(羅㷜, 1718 戊戌生) : 문과(文科) 영조44년(1768) 식년시 병과(丙科) 나순(羅㶷, 1708 戊子生) : 문과(文科) 영조16년(1740) 증광시 병과(丙科) 나한기(羅漢基, 1795 乙卯生) : 문과(文科) 순조28년(1828) 식년시 병과(丙科) 나채오(羅采五, 1802 壬戌生) : 문과(文科) 철종3년(1852) 식년시 병과(丙科) 나원용(羅元容, 1868 戊辰生) : 문과(文科) 고종24년(1887) 별시3 병과(丙科) 나인(羅紉, 1571 辛未生) : 문과(文科) 선조36년(1603) 정시 병과(丙科) 나숙(羅淑) : 문과(文科) 중종19년(1524) 별시 병과(丙科) 나급(羅級, 1552 壬子生) : 문과(文科) 선조18년(1585) 식년시 갑과(甲科) 나만갑(羅萬甲, 1592 壬辰生) : 문과(文科) 인조1년(1623) 알성시 병과(丙科) 등 모두 4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5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29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
안정(安定)은 경상북도 의성군(義城郡) 비안면의 옛 지명으로 신라시대에 아시혜(阿尸兮) 또는 아을혜(阿乙兮)로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안현현(安賢縣)으로 고쳤으며, 940년(고려 태조 23)에 안정현(安定縣: 安貞縣)으로 개칭하였다. 1390년(공양왕 2)에 감무를 두고 비옥현도 함께 관할하였다. 1421년(세종 3) 안정과 비옥을 합쳐서 안비현(安比縣)으로 개칭하였다가, 1423년(세종 5) 비안(比安)으로 고쳤다. 현재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안정나씨는
1985년에는 1,178가구 4,835명, 2000년에는 2,216가구 7,21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312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