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곡산노씨(谷山盧氏)
유래
시조 : 노원(盧垣)
도시조 노수(盧穗)의 아홉째 아들 노원(盧垣)이 고려 초기에 곡산백(谷山伯)에 후손들이 곡산을 본관으로 하고, 그의 후손으로 고려 충숙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노조(盧兆)를 1세조로 하고 있다. 인물
3세손 노인철(盧仁哲)이 예문관(藝文館)의 제학(提學)을 역임했고, 그의 손자 노중례(盧重禮)는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지냈다. 한편 중종 때 별시문과에 급제한 노경린(盧慶麟)은 부사과(副司果) 노적(盧績)의 아들로 학유(學諭)를 거쳐 지평(持平)에 올랐으나 감정을 품었던 진복창(陳復昌)의 탄핵으로 좌천되었으며,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나가 서원(書院)을 세워 유학(儒學)을 장려했고, 숙천 부사(肅川府使)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성을 떨쳤다. 그밖의 인물로는 내금위장(內禁衛將) 노오(盧澳)와 판관(判官) 노진, 감찰(監察) 노발(盧潑), 훈련원정(訓鍊院正) 노극제(盧克悌), 부사과(副司果) 노극겸(盧克謙) 등이 대표적이며, 노성린(盧成鱗)은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여 도정(都正)을 지낸 노병준(盧秉俊), 노우현(盧禹鉉) 등과 함께 가문을 대표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노경린(盧慶麟, 1516 丙子生) : 문과(文科) 중종34년(1539) 별시 병과(丙科)
노극제(盧克悌, 1626 丙寅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노극겸(盧克謙, 1623 癸亥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노극준(盧克俊, 1627 丁卯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노문표(盧文彪, 1639 己卯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노관하(盧觀河, 180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34년(1834) 식년시 삼등(三等) 노의석(盧義錫, 1816 丙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1년(1835) 증광시 삼등(三等) 노태일(盧泰鎰, 1694 甲戌生) : 역과(譯科) 숙종37년(1711) 식년시 () 노덕수(盧德水) : 의과(醫科) 고종31년(1894) 식년시 노상철(盧尙哲, 1859 己未生) : 의과(醫科) 고종28년(1891) 식년시 등 모두 1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2명, 역과 1명, 의과 2명, 율과 2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곡산
곡산(谷山)은 황해북도 북동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십곡성(十谷城)이라 불렸고, 748년(신라 경덕왕 7) 십곡성현(十谷城縣)으로 편성되었다가 757년에 진서현(鎭瑞縣)이라 개칭하여 영풍군(永豊郡)이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곡주(谷州)로 개편되고 995년(성종 14)에는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1393년(태조 2)에는 곡산으로 개칭하고 부(府)로 승격하였으나, 태종 때는 곡주(谷州)에서 다시 곡산군으로 격하하였다. 1669년(현종 10) 부로 승격되었으나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곡산군(谷山郡)이 되어 개성부(開城府)에 속하였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황해도로 편입 되었다. 별칭으로는 덕돈홀(德頓忽)·고곡(古谷)·곡성(谷城)·진서(鎭瑞)·상산(象山) 등으로 불리고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곡산노씨는
1985년에는 1,704가구 7,453명, 2000년에는 443가구 1,36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33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