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광산노씨(光山盧氏, 광주)
    유래
    광산은 광주의 옛지명으로 광주노씨이다.
    ☞ 광주노씨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노태관(盧泰觀, 1716 丙申生) : 문과(文科) 영조14년(1738) 식년시 병과(丙科)
     노천우(盧天祐, 1712 壬辰生) : 문과(文科) 영조47년(1771) 식년시 병과(丙科)
     노언방(盧彦邦, 1708 戊子生) : 문과(文科) 영조17년(1741) 식년시 병과(丙科)
     노용(盧龍,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노유삼(盧有三, 180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등외() 장원급제
     노자령(盧字領, 1660 庚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28년(1702) 식년시
     노계원(盧啓元, 1695 乙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45년(1719) 증광시 삼등(三等)
     노우석(盧宇碩, 1663 癸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7년(1691) 증광시 삼등(三等)
     노우석(盧宇碩, 1663 癸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6년(1690) 증광시 삼등(三等)
     노관(盧瓘, 185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3년(1876)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광주군(光州君) 영남파
    27世
    ○응(應)
    ○기(機)
    ○흠(欽)
    28世
    수(秀)○
    상(相)○
    정(正)○
    29世
    ○용(容)
    30世
    재(在)○
    지(地)○
    31世
    ○현(鉉)
    ○석(錫)
    ○호(鎬)
    32世
    태(泰)○
    순(淳)○
    영(泳)○
    33世
    ○동(東)
    ○식(植)
    ○영(榮)
    34世
    희(熙)○
    병(炳)○
    현(炫)○
    35世
    ○규(奎)
    ○달(達)
    ○준(埈)
    36世
    용(鏞)○
    종(鍾)○
    진(鎭)○
    37世
    ○준(浚)
    ○호(浩)
    ○해(海)
    38世
    추(樞)○
    주(柱)○
    림(林)○
    39世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광주군(光州君) 호남파
    33世
    ○영(永)
    34世
    병(炳)○
    35世
    ○섭(燮)
    36世
    기(基)○
    37世
    ○현(鉉)
    38世
    순(淳)○
    39世
    ○주(柱)
    40世
    광(光)○
    41世
    ○균(均)
    42世
    선(善)○
    43世
    ○원(源)
    44世
    근(根)○
    45世
    ○묵(黙)
    46世
    재(在)○
    47世
    ○진(鎭)
    48世
    한(漢)○
    49世
    ○상(相)
    50世
    병(炳)○
    51世
    ○철(喆)
    52世
    련(鍊)○
    53世
    ○식(湜)
    54世
    영(榮)○
    55世
    ○렬(烈)
    56世
    시(時)○
    57世
    ○감(鑑)
    58世
    태(泰○)
    59世
    ○동(東)
    60世
    하(夏)○
    61世
    -
    62世
    -

     대호군파(大護軍派)
    24世
    ○구(九)
    병(炳)○
    병(炳)○
    병(炳)○
    병(炳)○
    연(然)○
    25世
    병(炳)○
    ○기(基)
    ○규(圭)
    ○기(基)
    재(在)○
    ○균(均)
    26世
    ○균(均)
    종(鍾)○
    호(鎬)○
    호(鎬)○
    ○현(鉉)
    종(鍾)○
    27世
    진(鎭)○
    ○하(河)
    ○철(徹)
    ○원(源)
    승(承)○
    ○하(河)
    28世
    ○택(澤)
    권(權)○
    동(東)○
    동(東)○
    ○채(采)
    권(權)○
    29世
    동(東)○
    ○환(煥)
    ○훈(焄)
    ○환(煥)
    연(然)○
    ○훈(焄)
    30世
    ○환(煥)
    형(炯)○
    선(瑄)○
    규(奎)○
    ○균(均)
    선(瑄)○
    31世
    준(竣)○
    ○현(鉉)
    ○옥(鈺)
    ○현(鉉)
    종(鍾)○
    ○현(鉉)
    32世
    ○석(錫)
    원(源)○
    용(溶)○
    용(溶)○
    ○호(浩)
    원(源)○
    33世
    영(永)○
    ○채(彩)
    ○즙(楫)
    ○채(彩)
    근(根)○
    來(래)○
    34世
    ○식(植)
    희(熙)○
    후(煦)○
    형(炯)○
    ○환(煥)
    35世
    형(炯)○
    ○재(載)
    ○배(培)
    ○재(載)
    규(奎)○
    36世
    ○재(在)
    기(錤)○
    기(錡)○
    기(錡)○
    ○석(錫)
    37世
    현(鉉)○
    ○순(淳)
    ○필(泌)

    원(源)○
    38世
    ○원(源)
    병(秉)○
    정(楨)○

    ○수(秀)
    39世
    두(杜)○
    ○섭(燮)
    ○황(煌)

    렬(烈)○
    40世
    ○희(熙)
    규(珪)○
    채(綵)○

    ○배(培)
    41世
    -
    42世
    -
    43世
    -

     삼사공파(三司公派)
    16世
    ○호(浩)
    17世
    정(楨)○
    18世
    ○환(煥)
    19世
    재(載)○
    20世
    ○석(錫)
    21世
    潤(윤)○
    22世
    ○東(동)
    23世
    應(응)○
    24世
    ○達(달)
    25世
    鎭(진)○
    26世
    ○洛(락)
    27世
    상(相)○
    28世
    ○렬(烈)
    29世
    기(基)○
    30世
    ○현(鉉)
    31世
    원(源)○
    32世
    ○식(植)
    33世
    병(炳)○
    34世
    ○균(均)
    35世
    종(鍾)○
    36世
    ○수(洙)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7世孫은 1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光山)은 전라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이다. 신라시대에 이르러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진성여왕 때는 견훤(甄萱)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도(海陽道) 소속이 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 일명 冀陽州)라 고쳤으며, 충선왕 때 이르러 화평부(化平府)로 강등되어 공민왕 때 광주목(光州牧)이 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성종 때에는 광산현으로 강등되었고, 연산군 때 주(州)로 환원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羅州府) 관할의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910년 광주면이 되었고, 1935년 광주읍(光州邑)이 부(府)로 승격됨에 따라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88년 송정시와 함께 광주직할시에 편입되었고, 1995년 광주광역시 광산구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광산노씨는
    1985년에는 8,201가구 34,281명, 2000년에는 8,747가구 28,35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0,52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