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교하노씨(交河盧氏)
    유래
     시조 : 노오(盧塢)
    시조 노오(盧塢)는 도시조 노수(盧穗)의 둘째 아들로 교하백(交河伯)에 봉해졌으므로 본관을 교하로 하였다.

    신라 말 시조 노오의 후손 노강필(盧康弼)이 기계(杞溪 : 지금의 경상북도 영일)에 정착하여 살면서 학문(學問)이 현달(顯達)하여 이름을 떨치자 본관을 장산(章山)으로 하였다가 고려 태조 왕건(王建)를 도와 고려 창업에 공을 세우고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으로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라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에 봉해져서 교하로 복관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교하로 하고, 노강필(康弼)을 1세조로 하고 있다.
    인물
    - 노태우(盧泰愚)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재임 1988~1993)을 지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노직(盧稙, 1536 丙申生) : 문과(文科) 선조2년(1569)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노사신(盧思愼, 1427 丁未生)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식년시 병과(丙科)
     노사신(盧思愼)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등준시 이등(二等)
     노공필(盧公弼, 1445 乙丑生)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춘시 이등(二等)
     노윤중(盧允中, 1718 戊戌生) : 문과(文科) 영조42년(1766) 정시3 병과(丙科)
     노문한(盧文漢, 1601 辛丑生) : 문과(文科) 인조13년(1635) 증광시 병과(丙科)
     노종원(盧從元) : 문과(文科) 명종16년(1561) 식년시 병과(丙科)
     노서(盧○, 1693 癸酉生) : 문과(文科) 영조39년(1763) 기로정시 병과(丙科)
     노사신(盧思愼)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발영시 일등(一等)
     노경린(盧景麟) : 문과(文科) 명종8년(1553)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7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2명, 무과 14명, 생원진사시 46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 강원도 금화군 원화면 추의리
    - 강원도 금화군 임남면 두목리
    - 충남 서천군 기산면 두북리
    -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 용성리
    - 황해도 금천군 웅덕면 벽파리
    - 경남 창원군 내서면 삼계리
    - 전북 임실군 둔남면 오암리
    항렬자
    27世
    석(錫)○
    28世
    ○수(洙)
    29世
    병(秉)○
    30世
    ○우(愚)
    31世
    재(載)○
    32世
    ○호(鎬)
    ○선(善)
    ○현(鉉)
    33世
    승(承)○
    해(海)○
    자(滋)○
    34世
    ○래(來)
    ○상(相)
    ○모(模)
    35世
    희(熙)○
    대(大)○
    형(炯)○
    36世
    ○철(喆)
    ○배(培)
    ○규(奎)
    37世
    ○종(鍾)
    38世
    ○구(求)
    39世
    영(榮)○
    40世
    ○환(煥)
    41世
    기(基)○
    42世
    ○용(鏞)
    43世
    영(泳)○
    44世
    ○동(東)
    45世
    헌(憲)○
    46世
    ○중(重)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8世孫은 2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파주
    교하(交河)는 지금의 경기도 파주시(坡州市) 교하·탄현면(炭縣面) 지역으로 고구려에는 천정구현(泉井口縣), 굴화(屈化), 또는 어을매관현(於乙買串縣)이라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교하군으로 봉성현(峰城縣: 坡州)을 관할하였고, 1018년(현종 9) 양주(楊州)에 병합되었다. 1394년(태조 3) 한양군의 심악현(深岳縣)·원평현(原平縣)과 부평군(富平郡)의 석천향(石淺鄕)을 교하현으로 통합, 관할하다가 1687년(숙종 13) 파주군으로 폐합되었다. 이후 1731년(영조 7)에 파주군에서 분리되어 교하군으로 승격하였다가 1914년 파주군에 폐합되었다. 선성(宣城)·원정(原井) 등의 별호가 있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교하노씨는
    1985년에는 11,182가구 45,812명, 2000년에는 16,561가구 53,20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1,747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서원군파(瑞原君派)
    - 창성군파(昌城君派)
    - 경원군파(慶原君派)
    - 신양군파(新陽君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