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서하노씨(西河盧氏)
    유래
    서하노씨는 풍천노씨(豊川盧氏)를 말하는 것이다. 풍천의 다른 이름이 서하(西河)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노덕진(盧悳鎭, 1861 辛酉生) : 문과(文科) 고종20년(1883) 식년시 병과(丙科)
     노석범(盧錫範, 1854 甲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0년(1873) 식년시 삼등(三等)
     노기창(盧基昌, 1836 丙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4년(1867) 식년시 일등(一等)
     노기남(盧基南, 1823 癸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0년(1873) 식년시 삼등(三等)
     노기창(盧基昌, 1836 丙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4년(1867) 식년시 삼등(三等)
     노윤추(盧允樞, 177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22년(1822)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남도 송화군
    서하(西河)는 풍천(豊川)의 다른 이름으로 성종이 정했다.
    본래 고구려의 구을현(仇乙縣 또는 仇遷縣)이었는데 신라의 경덕왕 때에 굴현(屈峴)으로 고쳐 양악군(楊嶽郡 : 지금의 안악군)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980년(태조 23)에 풍주(豊州)로 고쳤다가 성종 때에 도호부로 승격시켰고, 현종 때에 방어사를 두어 안악(安岳), 유주(儒州), 은율(殷栗), 청송(靑松), 가화(嘉禾), 영녕(永寧) 등을 관할하였으며 서해도(西海道)에 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진(鎭)을 설치하여 병마사를 두었고, 1413년(태종 13)에 풍천군(豊川郡)으로 고쳤으며, 그 해에 은율현을 합쳐 풍률군(豊栗郡)이라 하였다가 뒤에 이를 다시 나누었다. 지금의 풍해면 지역으로 추정된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서하노씨는
    1985년에는 42가구 176명, 2000년에는 95가구 31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02명으로 조사되었다.